china/CHR/chr2013/chr82pdf/chr82-09...234 Ú£ïáâðî2ñ2 '; 2 fe 'ÞW[ MM 9-PQ2 õR [* L f s...

34

Transcript of china/CHR/chr2013/chr82pdf/chr82-09...234 Ú£ïáâðî2ñ2 '; 2 fe 'ÞW[ MM 9-PQ2 õR [* L f s...

  • 北京大學 校長 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 貞 和 (忠北大)

    Ⅰ. 머리말

    Ⅱ. 5 4운동 전후, 蔡元培와 孫文

    의 사상적 分岐

    Ⅲ. 蔡元培의 護法투쟁

    1. 對독일 참전을 둘러싼 대립

    2. 軍閥정치와 교육계의 상황

    3. 蔡元培의 好人政府 지지와

    ‘孫文下野 促求’ 선언

    Ⅳ. 맺음말

    Ⅰ. 머리말

    학자인 蔡元培의 일생에서 주목할 점은 그가 격동하는 중국 정치변

    동 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그는 상아탑 속의 지식인으로

    그치지 않았다. 그는 정치조직자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이견이 부딪

    치는 회의를 원만하게 이끄는 등 갈등조정자로서의 역할도 했다. 선언

    문도 썼고, 당파적 입장의 연설도 했다.

    채원배의 문화적 공로도 탁월하지만, 그의 정치활동을 제외한다면

    그의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修身齊家治國平天下’를 실천하는

    儒家적 지식인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1) 그래서 사람들은 蔡元培를

    *이 논문은 2012년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

    구되었음(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12)

    1) Allen B. Linden, 張寄谦 译, 蔡元培和中國國民黨(1926-1940年) (蔡元培硏究

    會, 論蔡元培, 北京: 旅游敎育出版社, 1989), p.282.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30書生정치가라고도 한다.2) 그러나 채원배 스스로는 자신의 성품이 정치

    에 합당하지 않다면서 “나는 학문하는 사람이고, 나의 흥미도 학문에

    있다”3)고 말한다. 그렇다면 그의 정치활동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채원배는 辛亥革命 이전 同盟會에 참가, 反滿혁명 활동을 했다. 애국

    과 혁명을 위해 愛國女學을 거점으로 암살단을 결성하고, 학교에서 폭

    탄 제조를 가르쳤다. 또 1904년에는 浙江省 會黨과 연합하여 光復會를

    조직, 회장을 맡았고, 1905년 8월 동맹회가 성립되자, 何海樵의 알선으

    로 입회하여 동맹회 上海分會 회장을 맡았다.4)

    이 기간에 그는 정력적으로 혁명활동에 나섰다. 암살과 폭동을 혁명

    을 위한 좋은 수단으로 생각했고, 동지들과 일본인에게서 폭탄제조법

    을 배우는 등5) 애국을 위해서는 폭력행위도 마다하지 않았다. 동맹회

    는 民國 초기 國民黨의 전신이므로 채원배는 당연히 국민당의 원로로

    알려져 있다. 신해혁명 시기의 활동을 보면, 그는 혁명가였고 孫文과는

    혁명동지였다고 할 수 있다.

    중화민국이 성립하자 채원배는 임시정부 孫文의 대표로 北京에 파

    견돼 袁世凱가 南京에서 총통에 취임하도록 모시러 갔다. 원세개가 총

    통이 되자, 1912년 원세개정부의 초대 교육총장에 부임한다. 이러한 정

    치활동에는 직·간접적으로 손문의 영향이 있었다.

    그 해에 교육총장직을 사임한 채원배는 독일로 유학을 갔고, 1913년

    5월 손문의 부름으로 베를린에서 귀국, 제2혁명에 참여했다. 혁명이 실

    패하자 그는 가족을 데리고 프랑스로 갔다. 그리고 1916년 10월 유럽

    에서 北京大學 교장 직을 제의 받고 귀국한다. 많은 사람들은 이 일도

    손문의 뜻을 받아들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때까지도 채원배의 활동은 정치적으로 남방의 국민당과 일치한다

    2) 張曉唯, 蔡元培與胡適(1917-1937)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p.203.3) 蔡元培, 蔡元培自述 (鄭州: 河南人民出版社, 2004: 이하 蔡元培自述이라함), p.138.

    4) 위의 책, p.53.

    5) 위의 책 p.50; 馬征, 敎育之夢 -蔡元培傳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5),pp.76-77.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31고 생각된다. 사실 손문은 채원배를 북경에 있는 자신의 정치적 대리

    인으로 여기고 있었다. 손문을 총수로 하는 민주혁명파가 新文化運動

    에서 적극적 작용을 한 것으로 인정된다.6)

    손문이 채원배의 북경대학 교장 취임을 지지했지만,7) 교장 부임 이

    후 채원배는 손문의 혁명의 길에 동행하지는 않았다. 그는 북경대학

    개혁에 전념해 대학을 쇄신시켰다. 이 시기 그의 정치색채는 상대적으

    로 엷어졌지만, 사람들은 그의 배후에 여전히 국민당의 정치배경이 있

    다고 여겼다.8)

    북경대 교장 재임 기간(1916-1923)중 채원배가 남방정부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려웠다고 할지라도, 많은 사람들은 이미 그를 ‘자

    유인’으로 보았다.9) 그는 ‘兼容幷包’ ‘학술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제창

    하고, 대학 개혁 과정에서 초당파적인 자유주의적 지식인의 입장을 나

    타냈다. 개혁은 신문화운동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학생과 지식인

    의 존경을 받았다.

    북경대학 교장으로서 채원배는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하기를 희망했

    다. 그는 데모와 수업거부, 일본상품 보이콧, 가두시위, 가두연설에 반

    대하는 등 학생들의 정치적 행동에 반대했다. 폭력이나 혁명적 방법을

    수단으로 중국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에게 반대했다.10) 채원배는

    이 시기 교육구국의 목표에 전념했고, 이 목표는 자유주의적 경향의

    정치견해로 표출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중국이 참전하는 문제를 놓고, 채원배는 손문과

    적대관계인 段祺瑞의 北京政府 입장을 지지했다. 熊希齡 張謇 등 24인

    과 和平期成會를 조직해 남북대치 국면의 종식을 전국에 호소했다.11)

    6) 楊振華, 析蔡元培與孫中山在政治方面的分岐 (湖北: 紅河學院學報, 2005), p.34.

    7) 위의 글.

    8) 張曉唯, 蔡元培與胡適 -中國文化人與自由主義(1917-1937)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3), p.190.

    9) 위의 책 p.203.

    10) 蔡元培, 與《國聞周報》記者的談話 (高平叔, 蔡元培全集 第五卷, 北京: 中華書局, 1984: 이하蔡元培全集이라 함), pp.57-59.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32그 일환으로 그는 손문의 護法투쟁을 비판하고, 단기서 정부의 대독참

    전을 지지하고, 정치 안정을 위해 공개적으로 ‘孫文 下野 촉구 선언’을

    했다. 손문 측에서 공개적으로 채원배를 비난하는 등 갈등양상이 심화

    되기도 했다.

    채원배의 손문에 대한 반대는 북경대학 교장시기(1917-1923)에 한정

    된 것이었다. 그가 일시 국민당 및 손문의 정책에 반대하면서도 국민

    당에 남아있었던 것은, 손문의 三民主義를 제대로 시행하기 위한 것이

    었다. 그는 孫文사상을 折衷과 進步로 정의하면서 삼민주의는 자유경

    쟁의 사유재산제와 계급투쟁의 공산제를 중화해서, 평균지권과 절제자

    본의 이론을 만들었고, 사유재산제와 계급투쟁의 폐단을 해결했다12)고

    해석했다.

    채원배의 反손문활동에 대한 논문은 드물다. Allen B. Linden(張寄

    谦译, 蔡元培和中國國民黨(1926―1940年) 13)과 楊振華, 析蔡元培與孫

    中山在政治方面的分岐14) 등이 있다. 楊振華의 논문은 채원배와 손문사

    상의 분기의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 Allen B. Linden은 채원배의 국민

    당에 대한 태도가 反黨에서 親黨으로, 또 反黨으로 이어진다면서 정치

    적 행동의 모순이라고 지적한다.15) 그 지적에 의하면, 1920년대 초기는

    11) 孫常煒, 蔡元培先生年譜傳記 中冊 (臺北: 國史館, 民國75年: 이하 蔡元培先生年譜傳記 中冊이라 함), p.192.

    12) 拙稿, 蔡元培와 中庸의 道 (中國史硏究 75, 중국사학회, 2011.12), p.184참조

    13) 주1 참조.

    14) 주6 참조.

    15) Allen B. Linden는 채원배의 정치생애 중 1920년대의 초반과 후반은 모순으

    로 가득 차있다고 지적했다. “1920년대 초에는 反국민당 입장에서 손문의 하야

    를 호소했다. 그러나 1926년부터 1937년, 그는 국민당과 합작했다. 특히 1927년

    에는 장개석을 지지하여 국민당의 지도자가 되게 했고, 장개석의 淸黨에 참여

    했으며, 중국공산당을 공격했다. 1928년 남경국민정부 건립을 지지했지만, 점점

    남경정부를 비판했다. 1932년부터는 국민당원의 신분으로 손문의 부인 宋慶齡

    과 楊杏佛 및 기타 인사들이 조직한 中國民權保障同盟에 참가하여 남경정부의

    독재에 항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의 채원배의 정치활동은 이해하기 어

    렵다. 특히 국민당에 대한 그의 태도는 반당에서 친당으로, 또 반당으로 이어

    진다”고 지적했다. 주1의 책, p.282.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33반당의 시기이다. 그러나 초점을 그의 이념인 敎育救國에 맞춘다면, 모

    순이 아니라 교육구국을 목적으로 한 일관된 행동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 本稿에서는 북경대학 총장 시기(1917-1923) 채원배가 자신의

    정치적 동지였던 국민당, 특히 그 영수인 손문의 혁명활동을 반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채원배 연구에 한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5 4운동 전후, 蔡元培와 孫文의 사상적

    分崎

    5·4시기는 중국 지식인의 사명감을 계발했던 기간이었다고 할 수 있

    다. 채원배는 문화혁명으로 중국사회를 변혁하고자 했고, 교육으로 구

    국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했다. 북경대학 교장 시기 채원배는 정치활동

    에서 자유주의 지식인의 경향을 나타냈고, 손문을 총수로 하는 남방

    국민당과 항상 견해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근본적인 원인은 채원배의

    자유주의적 경향이 손문의 혁명방략을 포용할 수 없었다는 점이었다.

    북경대학 교장 채원배는 ‘兼容幷包’의 교풍과 교칙을 창도했다. 채원

    배가 북경대학을 혁신하면서 전국 각지의 우수한 인재와 진보적 청년

    들이 북경대학에 입학했다. 그는 북경대학에서 사상 자유, 백가쟁명의

    신국면을 만들었다.

    북경대학 교장으로서의 활동 중 특기할 것으로는 먼저 채원배가 이

    시기에 제창한 ‘勞工神聖’의 구호를 들 수 있다. 이 구호는 새로운 역

    사적 환경에서 일반 지식인들이 노동자계급을 새롭게 인식케 했다.

    채원배가 ‘노공신성’ 구호를 외친 이후, 이 구호는 빠르게 북경대학과

    모든 지식인에게 전파되었고, 청년 학생과 많은 신문 잡지 등 간행물

    의 주요한 용어가 되었다.

    그 다음 신문화운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은 여러 방면에서 논의된

    일이다. 세번째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전파에도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34이다.16) 그는 사상의 자유의 시각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일종의 학파이

    고, 그래서 그것의 존재를 용인해야 한다고 여겼다. 그의 용인 하에 마

    르크스주의를 연구하는 단체가 북경대학에서 합법적으로 존재하고 발

    전할 수 있었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학술토론도 자유롭게 허용되었

    다. 북경대학의 수업과 강연, 그리고 간행물 등에서 공개적으로 마르크

    스주의 학설이 선전되었다.17) 중국의 초기 공산주의운동의 계몽자들이

    모여들었고, 중국공산당 창립도 이들이 담당했다.18)

    그의 지론은 ‘각각의 학설은 각국 대학의 통례에 의하고, 사상 자유

    의 원칙에 따라 兼容幷包한다’19)는 것이었다. ‘어떤 학파나 이론도 그

    것이 합리적이라면 그것을 주장하는 까닭이 있을 것이고, 자연 도태되

    지 않았다면 설령 상반되는 것이라 할지라도 그 사상이 자유롭게 발전

    하도록 두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었다.20)

    그의 이러한 주장에서 ‘자유’ 두 글자가 도출된다. 그 배후의 이념은

    자유주의다. 사상의 자유, 신앙의 자유 등 여러 가지의 자유가 여기서

    나타난다. 자유의 의미에는 평등, 개성, 권리와 의무 등 현대적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21)

    16) 梁柱, 蔡元培与中國共産黨 (历史与评论, 北京大學馬克思主義學院, 2008.7),p.35.

    17) 위의 글, p.37.

    18) 북경대 마르크스주의학설연구회에서 활동 하던 한 학생은 채원배의 태도에

    대해 “채 선생은 반대파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정신적 물질적으로 마르크스주

    의학설연구회에 지지를 보내주었고, 우리를 격려해주었다. 반동파가 강력하게

    반대하는 상황 속에서 이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들은 우리의 사조를 과격

    주의라고 불렀다. 만약에 채원배 교장의 지지가 없었다면 이 조직은 공개적으

    로 활동할 수 없었다”고 회고했다. 채원배는 反共을 견지했다. 공산주의에는

    반대하지만 학술연구는 인정하고 지지한 것이다. 채원배의 학술 사상자유, 兼

    容幷包를 이해할 수 있는 글이다. 위의 글, p.36 재인용; 張家康, 蔡元培與中

    國共産黨 (炎黃春秋 4, 2007), p.45 재인용.19) 蔡元培自述, p.121.20) 위와 같음.

    21) 蔡志栋, 在民族主义和自由主义之间-蔡元培政治思想簡論 (学术界月刊 總第142期, 2010.3), p.25.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35그의 이러한 자유주의적 경향은 손문의 혁명방략과 상응할 수 없었

    다. 손문의 혁명방략은 어떻게 탄생했고, 어떠한 내용을 가졌는가?

    袁世凱의 반동정치로 막 걸음마를 시작한 民國 初期의 중국 의회정

    치는 큰 시련에 직면하게 되었고, 제2혁명 실패 후 손문은 다시 신해

    혁명 이전의 혁명당 노선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손문은 1914년 7월 일

    본에서 비밀결사적 성격이 농후한 혁명정당인 中華革命黨을 조직했

    다.22)

    중화혁명당의 특징은 명령에 대한 복종을 요건으로 하는 점과 혁명

    정당에 의한 일당독재체제를 강조한 점이다.23) 입당하려면 자기의 생

    명과 자유, 권리를 희생하겠다는 것과 손문의 명령에 복종하겠다는 서

    약을 해야 했다. 전통적인 君民一體의 통치론을 볼 수 있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24)

    기본적으로 그의 구국의 목표는 민권, 민생주의의 이념을 실현하여

    민주공화국을 세우는 것이었다.25) 또 중국동맹회 때의 혁명방략의 연

    장선 상에서 軍政·訓政·憲政의 3序의 단계26)를 설정했다. 이 단계 설

    정은 여건이 갖추어질 때까지 민주공화의 이념을 유보, 무력으로 구악

    을 일소하고 일정 기간의 전제정치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1916년 원세개가 사거했다. 그 이전부터 중국은 이미 軍閥할거의 분

    열 상태에 놓여 있었다. 군벌 혼전의 와중에서 손문은 독자적 군사력

    을 갖지 못한 채, 일본을 거점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중화혁명당은 유

    효한 해결 능력을 갖지 못했다.

    1917년 손문은 북경의 군벌정권에 대항하는 西南군벌에 초빙되어

    남방정부(廣東軍政府)의 大元帥에 취임했다. 혁명정권과는 거리가 먼,

    봉건적 군벌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손문이

    22) 張玉法, 中國現代史 下冊 (臺北: 東華書局, 民國68年), p.356; 橫山宏章, 中華民國史 (東京: 三一書房, 1996), p.47.

    23) 橫山宏章, 위의 책, pp.46-47.

    24) 위의 책, p.48.

    25) 위의 책, p.137.

    26) 張玉法, 中國現代政治史論 (臺北: 東華書局, 民國77年), p.180.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36자기의 정치거점을 강화할 수 있게 된 것은 비교적 영향력이 강한 광

    동군벌을 중심으로 중소군벌을 긁어모아 광주에 제3차 광동군정부를

    건설(1923년 2월)하고 부터이고, 국공합작이 추진되기 시작한 무렵이

    다. 이때 손문은 中華民國 軍政府 海陸軍大元帥에 취임했다. 손문의 구

    상에 비춰보면, 군정․훈정 헌정 ‘三序’의 제1단계인 군정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중화혁명당 시기부터 國共合作을 추진하기 시작한 1923년까지 손문

    은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중화혁명당은 군사력도

    갖지 못했고, 대중으로부터도 유리되어 있었다. 그는 1917년부터 남방

    의 군사력에 의지하여 호법정부를 유지했지만, 남방군벌의 배척을 받

    아 근거지를 빼앗기기도 하고, 북경의 군벌과 제휴를 모색하기도 했다.

    군벌들 속에서 타도해야 할 반혁명적 군벌의 모습까지 보이고 있었다.

    1919년 10월10일 손문은 비밀결사적 성격이 농후한 중화혁명당을 중

    국국민당이라는 대중정당으로 탈바꿈시켰다. 5 4시기 대중운동에서 자

    극을 받은 때문이었다. 이 때 조직된 중국국민당은 민국 초기의 의회

    정당인 국민당을 계승하지 않고, 조직과 정신에서 중화혁명당을 계승

    했기 때문에 중요한 혁명방략은 중화혁명당과 다름이 없었다. 당시 정

    국상황이 갈수록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혁명정당의 방식

    으로 정국을 안정시켜야27) 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1920년 11월9일 손문은 국민당 黨章을 수정, 군정시기와 훈정시기를

    합쳤다. 즉 군정시기는 무력으로 일체의 장애를 없애서 ‘민국을 안정시

    키고, 동시에 정부는 훈정을 하여 文明治理(법치로 다스린다)한다’28)고

    명기했다. 혁명정당(賢人집단)이 인민을 대신하여 정권에 참여하고 국

    가를 통치한다는 일당독재의 통치론이다. 1920년대 초기, 손문은 군사

    27) 1917년 張勳의 復辟을 겪으면서, 그때 구 국회가 해산되고, 국무총리 段祺瑞

    는 별도로 御用 국회를 만들었다. 당시의 총통 黎元洪은 復辟사건 중 실각하

    고, 馮國璋이 총통직을 이어 받았다. 이렇듯 북방의 法統은 중단되었고, 손문이

    광주에 조직한 護法政府 역시 서남 군벌에게 빼앗겼다. 張玉法, 中國現代史,p.356.

    28) 위의 책, p.181.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37적 지배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새롭게 以黨治國論을 제창했다. 이

    당치국론은 종래의 훈정론을 보강하는 형태로, 개조된 중국국민당의

    일당독재를 정당화하는 논리였다.29)

    손문이 최후로 제시한 혁명방략은 1924년 4월에 발표한 建國大綱

    이다. 건국대강 에 의하면, 다시 군정, 훈정, 헌정의 3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민정부가 중화민국을 건설하는 권력주체이고, 군정시기와

    훈정시기를 총괄한다고 되어 있다. 국공합작의 새로운 상황 하에서도

    손문의 혁명방략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던 것이다.30)

    채원배와 손문은 군벌통치에 반대하고 민주정치 실현을 목적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북경대학 교장에 부임하던 시기부터 채원배는 교육

    구국에 전념했다. 그 방법으로 겸용병포 학술자유를 주장하고 실천했

    고, 교육을 위한 사회적 정치적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는 등 자유주의

    적 경향을 나타냈다. 이 점에서 손문의 무력 통일론과 대립되었다.

    Ⅲ. 蔡元培의 護法투쟁 비판

    1. 對독일 참전을 둘러싼 대립

    손문과 채원배의 대립은 단기서 정부의 對獨참전 문제에서 시작되

    었다. 당시 손문은 廣州에 護法軍政府를 세웠는데, 군벌을 소탕하고 무

    력으로 중국을 통일, 임시약법을 회복하여 진정한 민주공화국을 건립

    하는 것이 목표였다. 손문을 총수로 하는 남방 국민당은 단기서 정부

    29) 橫山宏章, 앞의 책, p.49.

    30) 國共合作은 손문이 혁명정당으로서의 공산당의 존재를 용인한 것이다. 그러

    나 주지하듯이 국공합작은 국민당과 공산당의 대등한 제휴가 아니었고, 공산당

    이 국민당에 입당할 것을 허용한 당내 합작 방식이었다. 공산당이 국민당 총리

    이자 광동군정부 대원수로서의 손문의 정치적 권위와 국민당의 지도를 용인하

    는 한도 내에서 공존이 허용된 것이었다. 橫山宏章, 中華民國史, p.51.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38가 참전을 구실로 자파 세력을 확대하고 반대파를 공격했기 때문에,

    중국이 연합군에 가입해 대독 선전포고를 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다.

    손문은 정부가 중립을 취해 줄 것을 호소했다.

    1917년 2월 손문은 그가 구두로 말하고 朱執信이 대필한 글 中國存亡의 問題를 펴냈다. 이 책의 요점은 ‘협약국의 조건에 가입하는 것은 준마를 몰아서 가파른 언덕을 오르는 것이다. 안전하지 않다’31)는

    것이었다. 손문과 중국국민당의 대독참전관이 드러나 있다.

    손문은 단기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對獨 참전을 하려는 원인을 자파

    군벌 군대의 재정문제 해결과 세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또 일본의 종용을 받은 것으로 판단했다. 손문은 단기서가 군대의 재

    원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의 지지를 필요로 한다고 본 것이다. 손문은

    ‘현재 단기서는 대독 선전포고를 하려고 하는데, 그 뜻은 이 기회를 이

    용해 外債를 확보해 군사력을 키워 무력으로 정국을 통일하고자 한

    다’32)고 진단했다.

    손문은 북경정부를 장악한 北洋군벌의 통치에 반대하고 있었다. 그

    는 자신이 벌이고 있는 호법투쟁의 敵이 대독참전을 기회로 군사력을

    강화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동시에 손문은 대독참전이 중국의 이익

    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는 국제연합군의 분투를 지지한다

    고 공개적으로 말했지만, 유럽전쟁에 중국을 끌어들이는 것은 국익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33)

    1917년 9월10일 손문은 광주에서 대원수에 취임하고, 내란을 평정하

    고 약법을 회복할 것을 천명했다.34) 취임선언에서 ‘천하와 함께 공화를

    파괴한 자를 공격하자’35)고 주장했다. 손문의 입장에서 민중의 존망은

    約法에 달려있는데, 약법의 효력이 없어졌으므로 민국은 사라졌다36)는

    31) 中國 國民黨中央委員會 黨史委員會, 國父年譜 下冊 (第三次 增訂本, 臺北:民國74年: 이하 國父年譜 下冊이라 함), p.747.

    32) 李新·李宗一, 中華民國史 第二編 第二卷 (北京: 中華書局), 1987.33) 위와 같음.

    34) 國父年譜 下冊, p.772.35) 國父年譜 下冊, p.774.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39것이었다.

    반면 1917년 3월3일 채원배는 국민당과 적대적 관계에 있었던 梁啓

    超 張君勵 및 사회 문화계 지도자들과 함께 國民外交後援會를 조직,

    북경정부가 연합군에 가입해 대독 선전포고 하는 것을 지지했다.

    채원배는 국민외교후원회 강연에서 연합군과 독일군의 전쟁을 협력

    과 강권의 전쟁, 도덕과 부도덕의 전쟁이라고 표현했다. 중국은 ‘정의

    의 연합국 측에 서야 한다.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는 당파의 견해에 따

    라 바른 뜻을 버릴 수 없는 문제’라고 했다. 그는 “국민당 내에서도 의

    견이 갈리고 있다. 제대로 처리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옳지 않다. 한 나

    라 안에서 내부문제로 의견이 갈려 안정되지 못한다 할지라도, 국외의

    문제가 발생하면 일치하여 외부의 문제 해결에 힘써야 한다”’37) 고 주

    장하면서, 대외정책에서는 단기서 정부에 동의하는 태도를 보였다.

    1918년 10월24일 채원배와 熊希齡 張謇 孫寶琦 등 지도급 인사들이

    和平期成會를 조직, 전국에 전문을 보내 남북 분열을 해소하고 인민이

    전란으로부터 받는 고통을 줄이자고 호소했다. “土匪가 전국에 두루

    깔려 있고 삼군이 행패를 부리니 만백성들이 고향을 떠나서 유리한다.

    장기에 걸친 이 대치상황이 더 길어진다면 어떻게 나라를 세울 것인

    가” 38)라고 하면서 ‘하루라도 빨리 화평의 국면을 조성’39)할 것을 촉구

    했다. 채원배는 손문에게 보내는 개인 편지에서도 완곡하게 같은 뜻을

    표시했다. 그는 손문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럽전쟁이 끝났고 국내가 화평해야 된다는 소리가 남북에 울려 퍼집

    니다. 대세에 따라야 합니다. 결코 소수인이 장애가 될 수 없습니다.

    ······ 실업과 교육의 양 면에서 확실한 성과를 볼 수 있다면, 사회의 신

    용을 넓힐 수 있고, 民治의 기초를 세울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 의석을

    몇 개 차지하는 것에 비해도, 국무원 의원 몇 명을 확보하는 것에 비해도

    그 성과가 훨씬 큽니다.40)

    36) 주29의 책.

    37) 天津 大公報, 1917.3.5.38) 蔡元培先生年譜傳記 中冊, p.189.39) 위의 글, p.190.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40

    라고 주장했다. 내전을 종식하고 실업과 교육에 힘을 쏟자는 주장이다.

    이에 대한 손문의 회답은 다음과 같다.

    금일 국민이 평화를 간절히 바라는 것은 말씀하신대로입니다. 다만 국

    민이 소망하는 평화는 법에 의한 평화이고, 법률의 보장을 받는 평화여야

    합니다. 근래 소수의 평화를 도모하자는 사람들이 국회를 희생시키고 무

    인과 협력하려고 합니다. 무릇 국회란 민국의 기초이고 법치의 기구인데,

    이를 폐지할 수 있다면 민국은 어떻게 존재하겠습니까? 법률을 멸시하고

    권세를 좇는다면, 이것은 구차스럽게 偸安하는 것이고, 부연하여 말한다

    면 彌縫하는 것입니다. 비록 억지로 旦夕은 지탱할 수 있겠지만, 무인이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있으니, 법률은 효력을 발휘할 수 없고, 민권은 보

    장 받을 수 없으며, 그 때문에 정치는 진화하지 못합니다.41)

    채원배의 북경정부의 대독 참전 지지, 교육구국의 방법을 구차스럽

    게 偸安하는 것이자 미봉책이라고 비난한 것이다. 손문은 이어 “11월

    18일 총통에게 전문을 보내 남방정부는 국가의 법치 보장을 기대하여

    호법을 위해 투쟁하겠다는 공평하고도 간단한 조건을 요구했다. 국회

    는 완전한 자유를 가져야 하고 정당한 집무를 행사해야 하는데, 여태

    까지 이러한 간단한 조건조차 해결하지 못했으므로 계속 분투할 것이

    고, 북방에서 어떠한 강한 압력이 있더라도 돌아보지 않겠다”42)며 강

    한 호법투쟁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위의 글에서 보건데, 이미 손문과 북경정부는 양립할 수 없었다. 타

    협도 불가능했다. 뿐만 아니라, 참전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용인할 수

    없었다. 그는 참전하려는 사람은 復辟하려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43)

    채원배 등 민주주의 자유주의 인사들이 남북화해를 주장하는 것에 대

    한 불만을 표시한 것이다.

    손문이 남방에서 호법의 기치를 올린 이후, 중국은 남북 분립 상태

    40) 蔡元培, 致孫中山函 (蔡元培全集 第三卷), p.220.41) 蔡元培, 附;孫中山復蔡元培函 (위의 책), p.221.

    42) 위의 글.

    43) 위의 글.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41가 되었다. 채원배는 南人으로서 북경정부가 임명한 대학 교장의 지위

    에 있었으므로 그가 처한 입장은 약간 미묘한 것이었다.44) 문제의 관

    건은 채원배가 북경정부 관료라는 점과 그가 북경대학 교장에 부임한

    것은 손문의 ‘護法’ 전이었다는 점이다. 당시 민국의 중앙정부는 북에

    있고, 남에 있지 않았다. 채원배의 심경은 이러한 관점에 의한 것이었

    다.45) 남방 호법정부의 성립으로 채원배의 입장은 미묘해졌지만, 위의

    편지처럼 남방정부의 정책에 확실하게 반대했다.

    전쟁 종식 전후, 국내의 화평 분위기가 농후해졌다. 전쟁은 채원배의

    기대대로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다. 1918년 11월15일 채원배는 북경 천

    안문에서 거행된 연합국 승리 경축 연설에서 ‘黑暗與光明的消長’이라는

    긴 연설을 했다. 그는 연합국의 승리를 축하하고, 윌슨의 14개 평화원

    칙에 고무되었음을 표시하면서, “국제간에 모든 불평등한 암흑주의는

    소멸돼야 하고 광명으로 그것을 대신해야 된다”46)고 주장했다. 독일의

    패전을 “광명의 호조론이 강권론을 배척한 것이다. 음모의 시대가 지

    나고 정의의 역량이 만능이 되었고, 무단주의가 종말을 고하고 평민주

    의의 신기원이 열렸다. 암흑의 종족 편견주의기 소멸하고 대동주의가

    발전한 결과”47)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에 반대하고, 제국주의 열강이 가졌던

    불평등조약의 폐기를 희망했다. 그리고 각국이 가지고 있는 중국에서

    의 세력범위의 소멸을 주장했다. 중국의 참전은 중국이 일체의 불평등

    조약을 폐기할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라고 여겼다. 국민외교협회 강

    연에서도 “우리 국민들은 이 기회를 이용해 외교당국의 후원자가 되어

    피동적 외교를 이타적 외교로 바꾸어야 한다”48)고 주장했다. 국민외교

    협회는 1919년 2월16일 파리강화회의에서의 유리한 조건 조성을 위해

    44) 張曉唯, 앞의 책, p.204.

    45) 위의 글.

    46) 蔡元培, 黑暗與光明的消長 (蔡元培全集 第三卷), p.216.47) 위의 글, pp.216-218.

    48) 晨報, 1919.3.13.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42汪大燮 林長民 熊希齡 등과 북경에서 결성한 조직이다.49)

    채원배는 이러한 강연과 활동을 통해 여러 차례 남북내전에 반대

    의견을 표시하고, 심지어 손문에게 호법투쟁을 버릴 것을 권유했다. 손

    문을 원수로 하는 광주의 호법군벌정부와 북경정부가 대치하는 상황에

    서, 손문의 호법정부가 무력통일을 도모하는 것에 반대했다. 남북 양

    정부가 평화적 방법으로 국가를 통일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미 채원배는 북경정부의 대독 참전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채원배

    가 대독 선전포고를 지지한 것은 ‘세계의 모든 암흑세력을 소탕하고

    인류의 영구한 화평을 실현’하고, ‘公理가 강권을 이길 것’을 희망했기

    때문이다. 그는 연합군의 승리가 ‘인도주의가 군국주의를 소멸시켜 세

    계가 영구하게 화평하게 할 것’50)이라고 여겼다.

    이처럼 채원배와 손문은 대독일 참전문제와 남북 화평의 문제에서

    인식의 차이가 크게 벌어졌다. 위의 글을 통해서 손문의 강한 護法 의

    지를 확인 할 수 있지만, 당시의 문제는 군벌 및 군벌정치였다. 부인할

    수 없는 점은 손문은 혁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군벌들과 합종연횡

    했다는 점이다.

    군벌의 최고원칙은 무력을 보존하는 것이다. 누구를 위해서, 어떤 원

    칙을 위해서 전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존과 세력 확장을 위해서

    전쟁을 한다는 것이다.51) 중국은 손문의 호법정부 성립으로 이러한 군

    벌이 남북으로 대치하게 되었다. 남과 북에서는 또 각각의 군벌들 간

    의 전쟁이 그치지 않았다.52) 당연히 국민의 고통은 가중되었다. 군벌의

    49) 2월 12일에는 파리강화회의에서의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蔡元培 汪大

    燮 任長民 熊希齡 등을 발기인으로 북경대학에서 국제연맹동지회 성립대회를

    열고, 강화회의 기간 동안 정부를 촉구하여 외교적 승리를 쟁취하고, 정부를

    후원하고자 했다(北京大學日刊, 1919.2.11).50) 蔡元培, 我的歐戰觀 (蔡元培全集 第三卷), p.5.51) 張玉法, 中國現代政治史論, p.166.52) 군벌의 특징 중 하나는 전쟁을 문제해결의 방법으로 여긴다는 점이다. 어느

    통계에 의하면, 1912-1928년의 기간 동안 군벌은 140여 차례 이상의 省際省․

    地方省전쟁을 도발했다. 또 다른 통계에 의하면 1912년-1935년간 四川省에 모

    두 477차례 地方省적 전쟁이 있었다. 항상 전쟁이 있었기 때문에, 士氣 진작을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43각축 속에서 손문 역시 호법과 무력통일을 주장하면서, 남방의 다른

    군벌과 제휴하는 등 이전투구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2. 軍閥정치와 교육계의 상황

    1920년대 초기의 중국의 정치 경제상황은 혼란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다. 국가권력, 그 중추인 정치 경제 군사를 군벌이 지배하고 있었고,

    남과 북의 정부는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면서 합종연횡하고 있었다. 거

    기에 1921년 성립된 중국공산당은 공산주의를 중국의 위기를 구할 명

    약처럼 선전하면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기반으로 날로 세력을 확

    대해 가고 있었다.

    당시 군벌이 장악하고 있는 북경정부는 국제적으로 승인된 유일정

    부로, 중화민국의 法統은 북경정부에 있었다. 북경정부는 정통성과 함

    께 열강의 차관과 關稅, 鹽稅 등의 수입을 장악했다.

    북경정부를 장악한 북양군벌은 直隸派와 安徽派, 奉天派로 나뉘어

    있었다. 그들은 북경정부를 차지하기 위해 그들끼리 전쟁을 일으켰다.

    1920년 초기, 反直系 세력인 奉系의 張作霖, 晥系의 段祺瑞(그 휘하의

    盧永祥은 1920-1924년 浙江督軍을 거느렸다), 그리고 손문의 廣州軍政

    府가 결탁하여 삼각동맹을 이루고 있었다. 1922년 장작림이 군을 증파

    하여 直系를 공격하자, 손문 역시 광주에서 북벌에 나섰다. 이 전투에

    서 장작림이 직계에 패배하고, 또 직계는 남방에 손을 써서 陳炯明의

    모반을 종용해 손문의 북벌 역시 중지되었다.53)

    위해, 그들은 군인을 숭배했고, 도처에 사당을 세워서 關羽와 岳飛를 숭배했다.

    관우와 악비를 신격화하여 전쟁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관우와 악비를 숭배해야

    했다. 張玉法, 中國現代政治史論, p.162.53) 손문의 군벌과의 제휴는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924년 奉天 浙江 廣州의 삼

    각동맹은 다시 연합하여 直系를 토벌했다. 이때 浙督 盧永祥이 直系에게 패배

    당하고, 광주의 북벌역시 내부의 문제 때문에 (陳炯明이 東江에서 廣州로 진격

    하려고 노리고, 영국은 廣州의 商團사건을 지지했다.) 북방의 直奉전쟁은 원래

    直系에 속했던 馮玉祥이 혁명을 발동하여 국민군을 건립하고는 曹錕을 가두고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44군벌의 통치와 그 영향으로 인한 폐해는 정치 사회 전반에 걸친 것

    이었다. 군벌들에 의한 전쟁이 이어졌고, 군벌의 성쇠에 따라 정권교체

    도 빈번히 일어났다.

    채원배는 군벌정치를 혐오했다. 군벌이 지배하는 정치상황에서 교육

    계의 수장으로서 자신의 교육이상을 실현하고, 중국교육을 개혁하는

    일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의 북경대학 교장직 사임은 군벌정치에 대한

    항의였다. 그가 교장직을 떠나면서 “다시는 정부가 임명한 교장을 하

    지 않겠다”고 한 이유 중 하나가 “관료 정객들의 간섭과 타락을 용인

    할 수 없었기 때문”54)이었다.

    군벌과 보수파들은 채원배의 북경대학 개혁과 신문화운동에 대해

    극단적인 적대감을 표시했다. 그들은 공개적으로 학술자유, 容納異己,

    兼容幷包사상을 ‘과격주의 고취’ ‘洪水’ ‘猛獸’라고 주장하면서,55) 강제

    오패부를 면직시켜서 直系를 몰아냈다. 직계가 쫒겨난 후 反直系各派는 가장

    실력이 없는 北洋軍의 원로 段祺瑞를 임시대총통으로 추대했다. 段祺瑞정부는

    廣州의 혁명정부와 결탁하였기 때문에 혁명정부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孫

    中山이 북경에 와서 국민회의를 개최하고 북경정부를 진정한 혁명정부로 개

    조하려고 하자 段祺瑞가 배반했다. 段祺瑞 집정시기의 북경정부는 실은 奉系

    의 張作霖과 國民軍系의 馮玉祥에게 실권이 있었다. 張玉法, 中國現代政治史論, pp.156-157.

    54) “나는 비교적 학문을 연구할 수 있는 사람이고, 나의 흥미 또한 완전 이 방

    면에 있다. 半官僚적인 국립대학 교장에 임명된 이후, 만나고 싶지 않는 사람

    을 얼마나 많이 날마다 만나야 했는지, 원하지 않는 말을 얼마나 많이 해야 했

    는지, 보고 싶지 않은 글을 얼마나 많이 읽어야했는지 모른다. 매일 한 두 시

    간을 내서 독서하고 싶은데, 결국은 하지 못하니, 실로 고통스러웠다. 북경대학

    교 교장이라는 이 직무는 최고 입법기관과 행정기관이 소재한 북경에 있기

    때문에, 날마다 그들의 타락을 보게 된다. ······ 더러운 공기가 날로 농후해지

    니, 정말 견딜 수 없다는 것이다.” 蔡元培, 關於不合作宣言 (蔡元培全集 第四卷), p.312; 劉火雄, 蔡元培: 絶不再做政府任命的校長 1994-2011 (China

    Academic Jounal Electronic Publishing House), p.50 참조

    55) 安福系機關報 公言報 撰文에 “蔡元培가 北大校長이 된 이래 非人을 써서,士習을 무너뜨린 것을 눈으로 목도 한 바이다. 채씨는 일찍이 국민당 소속이

    었는데, 최근 다시 교육가란 미명으로, 사회혁명․ 無政府 등의 邪說을 꾀하

    여 은밀히 파괴의 거동을 하고 있다. 자신은 너그럽게 세상을 피하면서, 크게

    제창하고, 불순한 무리들을 모아서 그의 협조자로 만든다.”고 하면서 北大의

    신사조를 홍수맹수로 여긴다. 張家康, 蔡元培與中國共産黨 (炎黃春秋 第4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45수단을 동원해 신문화운동의 발전을 억압하려 했고, 군벌들은 채원배

    를 위협했다.56) 이 때는 直晥전쟁 직후, 皖系(安徽派)에 이어 북경정부

    를 장악한 군벌은 安徽派와 奉天派였다. 直·奉 양 군벌의 수장인 曹錕

    과 張作霖의 남녀공학을 시작한 채원배에 대한 비난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는데, 時事新報 1920년 9월 15일자에 실린 이 기사는 채원배와 그

    의 동료들을 긴장시켰다.

    채워내에게 자신에 대한 위협은 큰 문제가 아니었다. 교육계 수장으

    로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군벌들이 국가 예산의 많은 부분을 군비로

    사용했기 때문에 교육부분에 쓸 비용이 없다는 점이었다. 군벌정부는

    국가예산의 많은 부분을 군비로 사용했다. 교육경비는 국가예산의 75

    분의 1이었다. 그 예산조차 轉用되어 집행되지 않았다. 더욱 군벌정부

    는 교육계를 화근으로 여겼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가 겨우 유지되는

    형편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교육계를 동요시켰다. 학교는 도서나 기자

    재를 구입할 경비가 없었고, 교무행정 비용도 없었다.57)

    3월 중순 북경의 국립 8개교는 교직원 연석회의를 열고 指定確實

    借款項作爲敎育經費 (교육경비를 확실한 항목으로 지정해줄 것), 淸還

    積缺 (체불월급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며, 사직과 수업거부를 결의했

    다. 이들 학교는 교직원들의 직무를 정지하고, 정부와 교섭을 시작했으

    나 3개월이 지나도 해결의 기미가 안보이자,58) 학생들도 수업거부로

    이를 성원했다. 6월3일에는 북경의 국립 8개교 교장과 교직원, 학생들

    이 정부 청원에 나섰는데, 군대에 의해 저지되어 수십 명의 교장 교수

    期, 2007), p.46,

    56) 京師警察總監朱深便이 동료에게 경계시키면서 말하기를 “諸君들은 蔡元培를

    書生으로 봐서는 안된다. 10만의 숫 사자로 봐야 한다. 우리가 모두 무장하여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인의 삼엄하고 공포스러운 칼날 앞에서 그는 물

    러나거나 위축되지 않고, 신사조를 위해서 변론했다. 위의 글 재인용.

    57) 한 예로 1920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북경대학과 고등사범 등 북경의 전

    문학교 이상 국립학교의 경비 40여만 위안이 없어서 교직원의 월급이 지급되

    지 않았다. 周天度, 蔡元培傳 (臺北: 新潮社), p.279.58) 北京國立學校紀 ( 八校辭職全體敎職員宣言 , 舒新城, 近代中國敎育史料 第三冊), pp.149, 173 참조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46들이 부상당했다.59)

    이 ‘교육경비확보’ ‘급료받기’ 운동이 군벌의 군대에 의해 폭력으로

    저지되자, 군벌지배 하에서는 교육경비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팽배해졌다.60) 교육계는 분노로 들끓었지만, 여전히 군벌의 할거와 혼

    전이 계속되었고, 군벌들은 운명처럼 계속 싸웠다. 또 군벌의 성쇠에

    따라 정권교체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奉天 直隸는 싸움을 계속하고 있고, 直隸와 安徽의 전쟁도 가까운 시

    기에 일어날 것이다. 만약 봉천파가 승리하면 張作霖은 또 孫烈臣과 싸울

    것이고, 손열신이 승리하면, 또 吳俊陞과 싸울 것이다. 직예파가 승리하면

    吳佩孚는 또 曹錕 혹은 馮玉祥과 싸울 것이다. 안휘파가 승리하면 안휘파

    는 또 봉천파와 싸울 것이다. 또 안휘파 내부의 徐樹錚과 盧永祥이 싸울

    것이다. 그 외에 甘肅 陝西 四川 湖南 安徽 내부의 督軍, 총사령 쟁탈전

    등으로 모든 지역에서 위기가 잠복해 있는 상태다. 군벌과 전쟁은 몸과

    그림자 같이 서로 떠날 수 없다. 61)

    위의 글은 중국공산당의 군벌에 대한 시각이다. 군벌이 소멸되지 않

    으면, ‘군벌 자신의 악정부도 반드시 항상 통일하지 못한 혼란 중에 있

    을 것이고, 중국 인민의 재산, 생명도 반드시 그 때문에 동요하고 상실

    되어갈 것’62)이라는 인식이 자유․민주계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인식이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자들도 교육경비 독립과 교육행정, 교육법

    도 군벌정부로부터 독립해야 가능하다고 생각하게 됐고, 이것은 교육

    계의 보편적 인식이었다.63) 이것이 1921년 9월, 채원배가 1년 만에 귀

    국한 이후 벌어지고 있는 정치와 교육계의 현실이었다. 군벌정부로부

    터 교육을 독립시킨다는 염원은 막을 수 없는 추세가 됐지만, 그것이

    가능하기는 어려웠다.

    59) 呂芳上, 從學生運動到運動學生 (臺北: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94),pp.191-195.

    60) 위의 글.

    61) 第一次對於時局的主張 (中國共産黨史資料集, 東京: 勁草書房, 1975), p.126.62) 위의 글.

    63) 金貞和, 南京國民政府初期 自由主義 敎育思想의 實驗 (史林 35, 首善史學會, 2010.2), p.384 참조.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471922년 2월 독일의 庚子賠款退還 등의 상황이 발생하자, 국립 8개교

    교장단은 독일에서 받은 賠款 800만원을 교육경비로 배정해줄 것을 북

    경정부에 청원했다.64) 그러나 군벌정부는 교육경비에 관심이 없었다.

    교장단은 8월에 다시 대총통에게 글을 올려 체불된 급료를 3개월분이

    라도 지급해줄 것을 요구했다.65)

    채원배는 중국의 이러한 현실과 자신의 교육이상을 반영하여, 교육

    경비, 교육행정을 정부로부터 완전히 독립시킨다는 새로운 모델을 구

    상했다.66) 1922년 3월 채원배는「敎育獨立議 를 발표했는데, 프랑스의

    교육시스템을 모델로 한 교육개혁안이다.67) 이 개혁안이 중국에서 실

    현 가능한가는 별개의 문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1922년 4월 말과 5월 초 군벌 내부의 정권쟁탈전인

    奉·直전쟁이 일어나 짧은 전투 끝에 ‘개명군주’로 칭해지던 直系 吳佩

    孚가 북경정부를 장악했다. 오패부는 5·4운동 시기 학생운동을 지지했

    고, 安福系가 장악하던 당시의 親日 북경정부에 반대했던 인물이었다.

    또 오패부가 쫒아낸 奉系군벌은 특히 지식인의 미움을 받던 군벌이었

    다.

    오패부가 집권하자 여론은 그를 ‘모범군인’ ‘애국군인’ ‘민주주의를

    반대하지 않는 군인‘으로 평가했고, 시국의 어려움을 해결할 능력 있는

    사람으로 여겼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이 기회를 통해 남북통일과 화평

    이 실현되기를 원했다.68) 이 때문에 그는 집권 초기 여론의 호평을 받

    았다.

    64) 國立八校校長呈敎育部總長文 (北京大學日刊 제969호).65) 國立八校校長呈大總統文 (北京大學日刊 제1070호).66) 주60의 글 참조.

    67) 敎育獨立議 는 대학원 대학구제에 대한 구상인데, 대학원은 조직상 교육부

    와 대체로 같다. 이석증의 제의로 이 명칭을 쓰게 되었다고 하며, 대학구제는

    프랑스를 모방한 것으로, 프랑스에서는 전국을 16개의 대학구로 나누어, 每 區

    에 대학 한 곳을 설립하고, 대학교장이 구내의 각종 교육사업을 모두 관리한

    다. 중국에서는 이 구상에 따라 채원배가 대학원장(교육부장관)이 되어 남경국

    민정부의 일부지역에서 실시했다. 蔡元培, 蔡元培自述, p.140.68) 周天度, 앞의 책, pp.287-288.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48

    3. 蔡元培의 好人政府 지지와 ‘孫文 下野促求’선언

    군벌정치는 중국 내우외환의 근원이었고, 인민의 고통의 산실이었다.

    군벌정치를 바꿀 수 있는 정치조직과 인물은 인민의 전폭적 동의를 이

    끌어낼 수 있었다. 군벌 지배 하에서 교육의 근간 역시 위협 받고 있

    었다. 채원배 및 그의 동료들은 ‘민주주의를 반대하지 않는 군인’이 정

    권을 장악하자, ‘중국정치의 혼돈을 끝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

    을 보았다.

    같은 시기, 채원배와 비슷한 동기로 그의 동료인 胡適은 1922년 5월

    7일 정치평론지 努力週報를 창간, 본격적으로 정치비평에 나섰다.69)그가 정치활동에 나선 것은 부패한 정치와 마르크스주의의 유행에 격

    분한 지식인의 양식이 동기라고 밝히고 있다.70)

    1917년 채원배는 和平期成會 활동 중 개인적으로 손문에게 미공개

    편지를 보내 남북이 담판하여 국내의 화평을 실현하자고 촉구했다. 그

    러나 손문과 인식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에, 누구도 상대방을 설득하

    지 못하고, 자신이 옳다는 길을 각자 갔다. 공개적으로 서로를 비난하

    지 않았지만, 채원배는 이후 수년간 북방 지식계 대표로서 행동했고,

    남방과의 정치적 협력은 아주 적었다. 때문에 호적 등의 자유주의자들

    과 북경대학 동료로서 사상문화 교육에서 호흡을 함께 했다. 채원배는

    그들에게 신임받고 추앙되었다.71) 5 4운동 전후, 1920년대 초기의 시기

    였다.

    채원배와 자유주의자 胡適은 초지일관 무력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

    었다. 그들은 교육과 실업, 과학을 진작시켜 점진적으로 구국을 도모하

    69) 胡適은 1922년 5월 7일 정치평론지 努力週報를 창간하고, 본격적으로 국내의 정치문제를 비평하기 시작했다. 그가 정치활동에 나선 것은 부패한 정치와

    마르크스주의의 유행에 격분한 지식인의 양식이 그 동기라고 밝히고 있다. 胡

    適, 我的岐路 (努力週報 7호, 1922.6.18).70) 胡適, 我的岐路 (努力週報 7호, 1922.6.18).71) 張曉唯, 앞의 책, p.205.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49려 했다. 그런데 손문은 군벌의 힘에 의지해 무력으로 정국을 장악하

    려 했고, 북경의 군벌과 대치하고, 남방 군벌 사이에서 각축전을 벌이

    고 있었다.

    채원배 등은 남북이 통일되지 않으면 무슨 일도 해결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군부정치를 종식시킬 수도 없었고, 裁兵도 할 수 없었다. 재

    정도 정리되지 않으며, 교육도 발달할 수 없고, 산업이 안정될 수 없었

    다. 남북이 통일되지 않으면, 정치도 결코 제 궤도에 오를 수 없었다.

    거기다 이들의 눈에 손문이 남북통일의 대업을 이룰 인물로 보이지 않

    았다. 나름의 기반을 갖고 활동하던 또 다른 군벌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겼다.72) 손문은 법통을 내세우고 서로 대립하는 남․북의 두 총통

    중 한 사람이었다. 남북문제는 일차적으로 남․북정부의 두 총통을 하

    나로 합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풀어야 했다. 쌍방이 대치하는

    당시 상황에서 풀기 어려운 문제였다.

    그런데 1922년 4월 말과 5월 초 군벌 내부의 정권 쟁탈전인 奉·直전

    쟁이 일어나 직예파 군벌이 북경정부를 장악하고, 손문이 불법총통이

    라고 지칭한 徐世昌이 하야 했다.73) 법통이 자신들에게 있음을 주장하

    는 남과 북의 정권에서 손문이 불법총통으로 지목했던 서세창이 6월2

    일 퇴위한 것이다. 남방 광동군정부의 손문만이 총통으로 남은 셈인데,

    손문은 이런 상황에서 북벌을 위한 군사행동을 시작하고 있었다.74) 채

    원배 등은 손문이 군사행동을 포기한다면, 자신들의 정치적 희망인 ‘남

    북 화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화평통일의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호적은 채원배와 한

    72) 胡適, 這一週 (努力週報 18호, 1922.9.3).73) 直系의 曹錕과 吳佩孚가 張作霖을 쫒아낸 후, 徐世昌은 張作霖이 가졌던 모

    든 직위를 박탈했는데, 그도 ?년 6월 초에 直系 군인에게 쫓겨났다. 그리고 袁

    世凱 死後 대총통이었던 黎元洪이 돌아왔고, 그해 남은 임기를 이어(1917년 晥

    系에 의해 쫓겨나면서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대총통 직에 올랐다. 胡適, 這

    一週 (努力週報 7호, 1922.6.18).74) 孫中山은 1922년 5월4일 육해군대원수명의로 북벌령을 내리고, 5월 6일 徐世

    昌 토벌령을 내리고 있다. 國父年譜 下冊, pp.960-970.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50몸처럼 정치 활동을 한다. 그들의 눈에 법통 회복의 분위기가 무르익

    고 있었다. 호적은 6월2일 일기에 서세창의 하야와 동시에 손문에 대

    한 하야 촉구가 있었던 일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오늘 서세창이 고별 연설을 했고, 연회가 끝난 후 기차로 天津으로 갔

    다고 한다. 오늘 밤 자리에서 채원배가 孫中山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 자

    리에 모인 각 黨 인사들이 함께 손중산에게 전보를 쳐서 護法의 일을 끝

    내고, 국민의 자격으로 함께 국사를 위해 진력하도록 청하자고 했다. 자

    리에 있던 사람들이 지난 날의 黨派 관계 때문에 서명하기를 꺼렸지만.

    내가 채원배에게 원고를 써서 보내라고 했다. 李石曾 張竟生 등이 서명했

    다. 蔡선생은 오늘의 일은 원래 石曾과 竟生이 발기한 것이라고 말하고,

    내일 전보를 치겠다고 했다

    채원배는 다음날 6․3慘怯기념회에서 200여명 교육자의 서명을 받

    아 전날 저녁에 발의했던 전문을75) 손문에게 보내 손문의 하야를 촉

    구했다.

    여러분들의 護法의 공은 영원히 불멸할 것이다. 이미 국민에게 공인된

    바다. 지금 북경의 불법 총통이 이미 퇴직했고, 전에 국회를 해산하라고

    명령했던 총통이 6년간의 불법명령을 취소하고 국회를 회복했다, 호법의

    목적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남북이 일치하니 더 이상 무력

    을 쓸 필요가 없다.76)

    는 내용이었다. 이 전보는 채원배 명의로 보냈지만,77) 호적의 글에

    75) 曹伯言 整理, 胡適日記 3 (合肥: 安徽敎育出版社, 2001: 이하 胡適日記라함), p.683.

    76) 晨報, 1922.6.4.77) 南方의 國民黨 인사들은 상해의 국민일보에 1922년 6월 6일, 7일, 10일 연속

    으로 主張“好人鬪爭”者底失言 , 向蔡先生 , 被坏人利用的好人 3편의 사론

    을 발표하고, 蔡元培에게 “남의 괴뢰가 되어서 의병을 막는다”고 비난 하였다

    채원배에게 형세를 확실히 파악하고 군벌에게 이용당하지 말라고 요구하고, 오

    패부를 지적하여 ‘채원배를 이용하여 괴뢰로 만들어서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북양군벌의 정통을 공고히 하려는 대 계획을 실행하여 제2의 원세개가 되려고

    준비하는가.’라고 비난했다. 실제로 이것은 손중산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고 손

    중산의 채원배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시하는 것이었다. 손중산의 묵인하에 남

    방 국민당의 중량급 인사들이, 예를 들면 장병린 등이 채원배의 전문에 대해서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51의하면, 호적 외에 각 黨의 인사들은 물론 채원배와 함께 국민당 4원

    로 칭해지던 이석증이 서명하고 있다. 개인의 생각이 아니고, 각계를

    대표한 하야 촉구였다.

    6월 중순이 되자, 군벌들의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북벌을 시작하

    던 손문은 陳炯明과 정면으로 충돌했다. 장작림이 군을 증파하여 直系

    를 공격하자 손문이 광주에서 북벌에 나섰는데, 장작림을 쫒아낸 직계

    가 곧 진형명의 모반을 종용한 것이다. 중앙의 직계와 진형명이 손을

    잡은 것이다. 진형명이 6월16일 모반을 일으켜 손문의 총통부를 포격

    한 것78)은 이러한 군벌간의 각축을 배경으로 한다. 호적은 노력주보에 다음과 같이 손문을 비판하고 있다.

    손문과 진형명의 충돌은 그들의 주장이 충돌한 것이다. 陳씨는 廣東자

    치를 주장하여 모범적인 新廣東을 만들려고 했다. 孫씨는 광동을 근거로

    하여 중화민국 통일을 주장한다. 양쪽 주장 모두 성립될 수 있다. 그러나

    손씨는 그의 주장으로 인해 안목을 잃고, 무리한 방법으로 목적을 달성하

    려고 한다. 그래서 8년에는 安福의 정책과 연합하려 했고, 11년에는 장

    작림과 연합하려 했다79).

    자유주의 경향의 지식인들만 손문에 부정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중국공산당도 군벌간의 대립항쟁을 이용한 합종연횡으로 민주국가를

    수립하려는 손문의 혁명전략을 비판했다. 코민테른의 지시에 의해 손

    문과의 제휴방침을 받아들인 중국공산당이 손문에 대해 본격적 비판을

    한 것은 1922년 6월, 손문이 진형명에게 추방당한 시기였다.

    중국공산당 역시 군벌정치를 내우외환의 근원으로 보았다. 시국선

    언 에 의하면, 새로운 정치조직, 즉 민주정치가 현재의 좋지 않은 정치

    반대하는 글을 발표했다. 남방 국민당의 비판에 직면하여 채원배는 의연히 자

    신의 입장을 견지했다. 1922년 6월 10일 채원배는 재차 ‘남방이 거병하여 호법

    하는 이유는 모두 이미 소멸했다. 남북 쌍방이 완전히 우리들의 정치주장의 건

    의에 의거하여 민의를 대표하는 남북회의를 개최하고 연성자치를 실행하라.’고

    주장하고, 자신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강하게 변론을 폈다.

    78) 蔡元培先生年譜傳記 中冊, p.617.79) 胡適, 這一週 (努力週報 8호, 1922.6.25).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52조직인 군벌정치를 바꾸지 않는다면 이러한 상태는 계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80) 국민당을 현존하는 각 정당 중 비교적 혁명적인 민주파81)

    라고 평가하면서도, 북양군벌과 손을 잡고 있다82)는 점을 비판했다.

    공산당이 손문에 대해 가장 크게 반발한 것은 粵奉浙 3각동맹으로

    대표되는 군벌과의 제휴였다. 1922년 9월 공산당의 蔡和森은 3각동맹

    에 의한 화평통일을 비판했다. 直隸 奉天 安徽 등의 군벌은 淸조의 잔

    당인 북양파의 적자일 뿐만 아니라, 민주혁명을 거친 西南 各省의 신

    군벌도 봉건정치의 유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83).

    채화삼은 또 손문이 군사행동에만 힘을 기울여 군사력을 갖고 있는

    군벌에 의지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민중과 괴리된다는 점을 지

    적84)했다. 손문의 군사행동이 혁명으로부터 대중을 유리시킨다는 비판

    은 1923년 6월 광주에서 열린 공산당 三全大會에서도 나왔다. 그들은

    외국에 혁명 원조를 의존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국내문제에서

    전력을 군사행동에 집중하고, 민중에 대한 선전을 소홀히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국민당은 정치적으로 지도적 지위를 잃고 있을 뿐만 아니

    라, 당 자체가 전국 민중의 동정조차 얻을 수 없다. 군사행동에만 의지한

    다면 영원히 성공을 거둘 수 없다.85)

    고 비판하고 있다.

    陳獨秀도 손문의 무력행동을 비판했는데, 현재와 같은 군대로는 목

    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광주정부의 군대는 이익만으로 결합

    한 고용된 군대이기 때문에 혁명적 군사행동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었

    다. 그런 상황에서의 북벌 결행은 반동적인 雲南軍 西南將軍 및 安徽

    奉天軍閥?과 타협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각종 反혁명세력

    80) 中國共産黨史資料集 1, p.121.81) 위의 글, p.122.

    82) 위와 같음.

    83) 蔡和森, 武力統一과 聯省自治 (中國共産黨史資料集 1), p.168.84) 위의 글.

    85) 中國共産黨第三回代表大會宣言 , 위의 책, p.256.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53의 힘을 무리하게 빌려서 혁명적 군사행동을 일으키려 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반혁명이라고 주장했다. 86)

    손문의 군사우선주의에 대한 공산당의 비판은 1924년 9월부터 시작

    된 손문의 북벌에 집중되었다. 彭述之는 국민당이 개조를 한 지금에도

    군사행동의 전통적인 정책을 정지하지 않았다면서, 중국의 부르주아는

    중국혁명을 지도할 수 없다87)고, 공산혁명가의 입장에서 손문을 비판

    했다. 국공합작 이후 공산당의 국민당에 대한 비판은 북벌의 군사행동

    에 집중되었다.

    손문은 군벌과의 제휴와 무력행동 때문에 각계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었다. 그러나 손문을 총수로 하는 남방의 군정부는 적극적으로 호법

    운동을 조직하여 북경정부와의 화해를 거절했고, 다시 국회를 소집할

    것을 주장했다.88)

    1922년 5월 호적 채원배 왕총혜 나문간 탕화룡 도행지 등 16인이 노력주보에 호적이 기초한 我们的政治主張 을 발표했다. 그들은 “好정치가 있어야 好사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好정부는 好人이

    조직해야 된다”고 주장했는데, 여기에 호응한 것처럼 오패부는 직계의

    통치를 공고히 하고, 나아가 정국을 통일하기 위해 왕총혜를 수반으로

    하는 ‘好人내각’을 조직했다.

    그러나 손문 영도 하의 광동정부는 오패부의 호인정부에 대해서도

    반대의 태도를 분명히 했다. 북경에 중국 정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북경정부는 하나의 계파일 뿐인데, 임시로 이전 중앙정부가

    했던 사무, 지점, 당안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허구의 외교적 승인을

    얻은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채원배는 호인정부 지지 및 내전 종식을 주장하는 지식인들

    과 함께 손문의 북벌주장에 반대했다. 그리고 오패부가 제출한 구 국

    회 회복과 黎元洪 복직 의견에 찬동했다. 1922년 5월22일 채원배와 梁

    86)「怎麽打倒軍閥 , 위의 책, pp.220-225.

    87)「誰是中國國民革命指導者? , 위의 책, p.468.

    88) 國父年譜 下冊, pp.960-970,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54啓超 汪大燮 孫寶琦 등이 연명하여 시국 해결을 위한 의견을 발표하고

    전문을 보냈다.

    1922년 6월 10일 채원배는 재차

    남방이 거병해서 호법하는, 무력통일의 이유는 모두 소멸했다. 남북 쌍

    방이 我们的政治主張 의 건의에 근거해서 민의를 대표하는 남북화해를

    소집하고 聯省自治를 실행해야 한다89)

    고 주장하면서, 무력해결의 필요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남방 국민당의

    비판에 대해서 답한 것이다.

    1923년 채원배는 군벌정치에 대한 항의로 북경대학을 사직했다. 곧

    周峻과 결혼하고 7월 출국했다. 그는 유럽에서 1926년 2월까지 유학생

    활을 했다. 채원배와 주준이 국외에 있을 때, 중국의 정치는 급변하고

    있었다. 출국할 즈음, 채원배는 손문과 코민테른(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이 국공합작을 협의하고 있음을 이미 알고 있었다. 합작은 코민테른이

    손문의 국가통일과 사회개혁 계획에 협조하고 지원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합작의 조건 중 하나가 중국공산당이 당적을 보유한 채 국민당에

    가입하고, 군벌에 반대하고,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에 반대하는 통일전

    선을 이루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1924년 광주에서 개최된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에서 聯蘇 容共 老農扶助 정책과 함께 승인되었다. 이 회의에 채원배

    는 결석했지만, 손문은 그를 국민당 중앙감찰위원회 위원으로 유지시

    켰다. 구국을 위한 방법은 달랐지만, 손문이 그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손문 서거(1925년 3월) 이후 국민당은 당의 영도권(지도노선) 문제

    로 갈등이 생겼다. 그 논쟁중 하나가 중국공산당과의 통일전선 유지

    문제였다. 汪精衛와 기타 국민당 지도자들은 1926년 1월 개최된 국민

    당 제2차 대표대회에서 國共통일전선을 인정했다. 이 회의에서도 국외

    에 있는 채원배는 중앙위원회에서 정식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89) 蔡元培, 致孫中山函 (蔡元培全集 第三卷, 1922.6.10).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55그는 이런 당의 중요 회의 이후 1개월 뒤 고향인 절강성 항주로 돌

    아왔고, 지방군벌인 孫傳芳에 반대하는 정치활동에 가담했다. 손전방이

    1926년 채원배 체포명령을 내리자, 그는 체포를 피해 여러 도시를 돌

    아다녔다.

    1927년 3월 채원배는 上海에서 오치휘 이석증 장정강 등과 함께 국

    민당 중앙감찰위원회 회의에 참가했다. 3월24일부터 4월9일까지 이러

    한 회의들이 여러 차례 열렸다. 회의에서 채원배와 그의 친구들은 모

    두 蔣介石을 지지하고, 공산당을 말살시키는 淸黨 활동을 옹호했다.

    채원배가 親黨으로 선회한 이유는 무었일까? 그는 1926년 2월까지

    유럽에 있었다. 중국 정치 전반, 그리고 국민당 내부의 갈등과 암투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는가와 누가 그에게 국민당 내부의

    변화에 대해 정보를 제공했는가가 판단의 준거가 될 수 있다. 채원배

    가 이러한 갈등 암투에 대한 소식을 그의 친구들에게 의존했다면, 그

    가 1927년에 참여했던 장개석 지지의 청당활동은 이해하기 어렵다.90)

    Ⅳ. 맺음말

    중국현대사에서 채원배와 손문은 학문과 정치계의 거목이었다. 1920

    년대 초기, 국공합작 직전에 있었던 두 거목 사이의 갈등은 구국이라

    는 면에서는 일치했지만, 5․4운동 이후 중국이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한 선택 때문에 빚어진 갈등이었다.

    손문은 직업혁명가, 국민혁명을 통해 진정한 부르주아 민주공화국을

    건립하고자 했다. 그리고 군사적 힘을 이용한 혁명을 통해 구국 목표

    를 실현하고자 했다. 죽을 때에도 “혁명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동지

    들은 여전히 노력해야 된다”면서 국민당원들의 분발을 촉구했다.

    반면 채원배는 사상․문화혁명으로 중국사회를 변혁하고자 했다. 그

    90) 주1(Allen B. Linden, 蔡元培和中國國民黨 ), p.282.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56방법은 교육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그는 1916년 북경대

    교장에 부임한 이후, 정력적으로 북경대학을 개혁했다. 사상․학술자

    유, 兼容幷包를 기치로 신․구학자를 초빙해 북경대학을 학문의 전당

    으로 만들었고, 신문화운동의 터전을 마련했다. 손문과 달리, 평화적

    방법으로 구국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채원배는

    북경대학 교장 취임 이후 여러 정치문제에서 손문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양자의 갈등은 대독 참전문제에서 처음 드러났다. 채원배 등 민주주

    의 자유주의 인사들은 북경정부를 지지하여 참전을 주장하고 남북화해

    를 촉구했다. 반면 손문은 북경정부를 용인하지 않았다. 따라서 북경정

    부를 지지하여 참전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용인할 수 없었다. 손문은

    ‘참전하려는 사람은 復辟하려는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두 번째 갈등은 ‘護法’정부에 대한 인식이었다. 손문이 남방에서 ‘護

    法’의 기치를 올린 이후, 중국은 남북 분립 상태가 되었다. 채원배는

    사람들의 인식상 南人이었다. 그러나 채원배는 민국 후의 북경정부 관

    료를 역임했다. 또 그가 북경대학 교장에 부임한 것은 손문의 ‘護法’

    전이었다. 채원배는 비록 惡정부이지만 민국의 중앙정부는 북경정부라

    고 인식했다. 손문의 남방 호법정부의 성립으로 채원배의 입장은 미묘

    해졌지만, 호법정부의 성립으로 중국이 더욱 혼란해지는 것은 용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남방정부의 정책에 확실히 반대했다.

    당시 중국은 군벌의 통치와 그 영향으로 혼란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인민의 생활은 도탄에 빠져 있었다. 당연히 채원배는 군벌정치

    를 혐오했다. 군벌 지배의 정치상황에서는 자신의 교육이상을 실현하

    고, 중국교육을 개혁하는 일은 불가능 했다.

    북경대학 재임 시절 그는 胡適 등의 자유주의자들과 사상 문화 교

    육면에서 호홉을 함께 했다. 학자로서의 채원배는 학술자유와 사상자

    유를 주장하는 등 자유주의적 경향을 보였는데, 동료이자 중국의 자유

    주의를 대표하는 호적과 행동을 함께 했다. 자유주의 지식인들은 무력

    통일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또 교육과 실업 과학을 진작시켜 평화적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57으로 구국을 도모하려 했고, 민주정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격렬한 계

    급투쟁이나 사회혁명을 반대했다.

    1917년 채원배는 和平期成會 활동 중 개인적으로 손문과 미공개 편

    지를 주고 받았다. 채원배는 남북이 담판하여 화평을 실현하자고 촉구

    했지만, 손문의 현실인식과 대처방안은 그와 달랐다. 인식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에, 누구도 상대방을 설득하지 못했다.

    이 시기 손문은 군벌의 힘에 의지해 무력으로 정국을 장악하려 했

    다. 북경의 군벌과 대치하고, 남방 군벌 사이에서 각축하고 있었다. 다

    른 군벌과 모습에서 다르지 않았다. 또 그가 다른 군벌에 비해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지도 않았다.

    채원배 호적 등은 남북이 통일되어야만 중국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군부정치의 종식과 裁兵, 재정과 산업이 제 궤도에

    오를 수 있고, 결과적으로 교육으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

    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채원배는 재차 ‘護法의 일을 끝내고, 국민의 자격으로 함께

    국사를 위해 진력하도록’ 그의 하야를 촉구하기도 했다. 채원배는 국민

    당 인사들의 맹비난을 받으면서도 자신이 옳다는 길을 갔다. 교육구국

    의 길이었다.

    여러 학자들은 채원배의 정치생애 중 1920년대는 국민당과의 관계

    에서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의 모순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한다. 드러

    난 정치적 행위로만 보면 맞는 말이다. 어느 때는 反孫文(1920년대 초

    기), 어느 때는 親黨(1927년 청당, 1928년 남경국민정부 참여), 어느 때

    는 反黨(1932년 민권보장동맹 참여)의 모습을 보였기에 그렇다. 현상만

    을 보고 단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 행동의 기저에는 변함없는 원칙

    과 일관된 입장 -교육구국과 인재양성의 사상-이 흐르고 있다.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58

    中國 國民黨中央委員會 黨史委員會, 國父年譜 下冊 (第三次 增訂本, 臺北, 民國74年)

    李新·李宗一, 中華民國史 第二編 第二卷 (北京: 中華書局)高平叔 編, 蔡元培全集 全7권 (北京: 中華書局, 1984)孫常煒 編著, 蔡元培先生全集 (臺北: 臺灣商務印書館,1977 )孫常煒 編著, 蔡孑民先生元培年譜 (臺北: 遠流, 1997)孫常煒 編著, 蔡元培先生年譜傳記 上․中․下冊 (臺北: 國史館, 1987)沈善洪 主編, 蔡元培選集 上․下卷 (浙江: 浙江敎育出版社, 1993)中央硏究院中國文哲硏究所籌備處 編印, 蔡元培張元濟往來書札 (臺北: 中央硏究院, 1980)

    蔡元培, 蔡元培自述 (傳記文學叢書之二十二, 臺北: 傳記文學出版社, 1960)馬征, 蔡元培傳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5)梁柱, 蔡元培與北京大學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6)周天度, 蔡元培傳 (臺北: 新潮社, 1994)彭明, 五四運動史 (北京: 人民出版社, 1984)陳平原, 追憶 蔡元培 (中國廣播電視出版社, 1997)張玉法, 中國現代史 下冊 (臺北: 東華書局, 民國68年)橫山宏章, 中華民國史 (東京: 三一書房, 1996)張玉法, 中國現代政治史論 (臺北: 東華書局, 民國77年)呂芳上, 從學生運動到運動學生 (臺北: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94)北京大學校史(1898-1949)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88)張曉唯, 蔡元培與胡適(1917-1937)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3))馬征, 敎育之夢 -蔡元培傳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5)王世儒 聞笛 編, 我與北大(老北大 活北大) (北京大學出版社, 1998)舒新城, 近代中國敎育史料 第三冊天津 大公報, 公言報, 晨報

    Allen B. Linden, 張寄谦 译, 蔡元培和中國國民黨(1926-1940年) (蔡元培硏究會,

    論蔡元培, 北京: 旅游敎育出版社, 1989)楊振華, 析蔡元培與孫中山在政治方面的分岐 (紅河學院學報, 湖北, 2005)梁柱, 蔡元培与中國共産黨 (历史与评论, 北京大學馬克思主義學院, 2008.7)張家康, 蔡元培與中國共産黨 (炎黃春秋 第4期, 2007) 재인용.蔡志栋, 在民族主义和自由主义之间 -蔡元培政治思想簡論 (学术界月刊 總第142期, 2010.3)

    閔斗基, 蔡元培思想의 理解 (中國初期革命運動의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1997)

    金貞和, 蔡元培의 理想主義실천 -留法勤工儉學運動의 교육구국적 측면 (忠北史學 第10輯, 충북대학교 사학회, 1998)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59金貞和, 民國初期 蔡元培의 敎育改革 (忠北史學 第11․12合集, 2000)金貞和, 蔡元培의 北京大學 改革(一) (中國史硏究 第8輯, 중국사학회, 2000)金貞和, 蔡元培와 中國民權保障同盟 (中國史硏究 第54輯 중국사학회, 2008)金貞和, 蔡元培와 孔敎問題 (中國史硏究 第69輯 중국사학회, 2010)金貞和, 蔡元培와 中庸의 道 (中國史硏究 第75輯 중국사학회, 2011)耿雲志, 蔡元培 -新文化運動的贊助者和保護者 (紀念五四運動六十周年學術討論會論文選, 北京: 社會科學出版社, 1980)

    陶英惠, 蔡元培與大學院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集刊 第3期上冊, 民國 61年)陶英惠, 蔡元培與北京大學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集刊 第5期, 民國 65年)陶英惠, 辛亥革命前後的蔡元培 (傳記文學 第38卷 第3期; 第226期)苗體君, 蔡元培在五四新文化運動中的地位新探 (廣東社會科學 1999年 第3期)郭湛波, 蔡元培 (近代中國思想史; 原題: 近三十年中國思想史, 大北書局, 1936)大村興道, 蔡元培 (東京大學中國哲學硏究室 編, 中國の思想家下卷, 1963)蔡元培·戴維翰, 蔡元培與儒家傳統 (自由主義, 臺北: 時報出版公司, 民國 69年).蔡元培·戴維翰, 蔡元培的人文主義與民國敎育改革 (自由主義, 臺北: 時報出版公司, 民國 69年).

    蔡元培·金耀基, 蔡元培先生象徵的學術世界 (自由主義, 臺北: 時報出版公司,民國 69年).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60(Abstract)

    The Cause of Tsai Yuan Pei’s Opposition

    Against Sun Yat Sen During The Presidency

    of Beijing University(1917-1923)

    Kim, Jung Hwa

    One notable thing of Tsai Yuan Pei as a scholar is that Tsai

    seriously affected Chinese political movement. Even though his

    contribution to culture was outstanding, however, without his

    political activities, it is hard to understand his whole shape. He is

    defined as a Confucian intellectual who practiced ‘修身齊家治國平天

    下.’ For this reason, Tsai is called schlor politician. But, Tsai

    himself denied his political tendency. He said, "I am a person of

    study, and my interest is also in study." Then, how can his political

    activities be evaluated?

    Tsai was appointed as the first minister of education by

    YuanShiKai government in 1912 when the republic of China was

    built. Sun Yan Sen influenced the Tsai's activ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ame year, Tsai resigned as the minister and went

    to Germany to study. May of 1913, Tsai returned for Sun's call,

    and participated in the Second revolution. After the revolution failed,

    Tsai traveled to France with his family. October of 1916, when he

    was offered the president of Beijing University, he came back from

    Europe. Many people believes that there was Sun's will even in

    this event.

  • 北京大學校長時期(1917-1923) 蔡元培의 反孫文활동의 원인 (金貞和) 261Sun considered Tsai as his reprsentative in Beijing. However,

    Tsai didn't accompany with the revolution while he was serving for

    the university. He only focused on Beijing University and reformed

    the school. In this period, his political tendency was vague, but still

    people considered National Party pulled wires from Tsai's behind.

    Some scholars criticised Tsai's contradiction that he changed his

    attitude towards National Party for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is,

    the presidency from 1917 to 1923 is considered as anti-National

    Party period. However, when the focus is moved to Tsai's ideology

    of education saves the country, his political orientation is not

    contradictional but consistent with his education saves the country.

    In this point, this article analyzed the criticism of Tsai against Sun,

    a political partner and a leader of National Party during Tsai's

    presidency.

    During 1917 to 1923, Tsai worked together with liberalists as a

    co-worker of Beijing University. Tsai had the confidence of them.

    It is hard to call Tsai as Western liberalist, however, his activities

    were accorded with liberalists in the president period. As a scholar,

    he supported freedom of scholarship and ideology. He also showed

    his liberal tendency. He was against unification by force. Also, he

    dissented to violent class strife or social revolution. This position

    was confronted to Sun who depended on warlords to seize power.

    Some scholars pointed out that Tsai's relation with National

    Party, especially in 1920s, is riddled with contradictions. However,

    the principle of education saves the country was always the

    ideological basis for his activities. Even though his political

    tendencies changed several times(anti-Sun(beginning of 1920s),

    pro-Party(1927 and the participation in Nanjing National

    Governamnt in 1928), anti-Party(1932)), he consistently followed his

  • 中國史硏究 第82輯 (2013. 2)262principle education saves the country to cultivate people with

    talents.

    주제어: 채원배, 손문, 유가적 지식인, 학술사상자유, 교육구국

    關鍵詞: 蔡元培, 孫文, 儒家的 知識人, 學術思想自由, 敎育救國

    Keywords: Tsai Yuan Pei, Sun Yat Sen, The Scholar of Confucian and

    politician, The Tsai's ideology of education saves the country, The freedom

    of scholarship and ideology

    (원고접수: 2013년 1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3년 2월 12일, 수정

    원고 접수: 2월 15일, 게재 확정: 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