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1-2/1.pdf · issue paper 2015-384...

232
ISSUE PAPER 2015-384 2016년 경제·산업 전망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산업 · 통상분석실 · 주력산업연구실 2015. 12.

Transcript of 2016년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1-2/1.pdf · issue paper 2015-384...

  • ISSUE PAPER 2015-384

    2016년 경제·산업 전망-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산업·통상분석실·주력산업연구실

    2015. 12.

  • 차 례

    요 약 …………………………………………………………………………… 5

    제1편 거시경제 전망

    제1장 국내 경기상황 판단 …………………………………………21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24

    1. 세계경제 …………………………………………………………24

    2. 주요국 경제 ………………………………………………………28

    (1) 미국 경제 ……………………………………………………………28

    (2) 일본 경제 ……………………………………………………………30

    (3) 유로 경제 ……………………………………………………………32

    (4) 중국 경제 ……………………………………………………………34

    3. 유가 ………………………………………………………………36

    4. 원/달러 환율 ……………………………………………………38

    5. 세계 IT경기 ………………………………………………………40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43

    1. 경제성장 …………………………………………………………43

    2. 부문별 전망 ………………………………………………………45

    (1) 민간소비 ……………………………………………………………45

    (2) 설비투자 ……………………………………………………………48

    (3) 건설투자 …………………………………………………………… 51

    (4) 수출입 ………………………………………………………………53

  • 제2편 산업별 전망

    제1장 개관 ………………………………………………………………67

    1. 2015년 동향 ………………………………………………………67

    2. 2016년 전망 ………………………………………………………70

    3. 정책적 시사점 ……………………………………………………84

    4. 주요 산업별 2016년 전망 요약 …………………………………88

    제2장 2016년 산업별 전망 ………………………………………… 107

    1. 자동차산업 ………………………………………………………107

    2. 조선산업 …………………………………………………………118

    3. 일반기계산업 …………………………………………………… 130

    4. 철강산업 …………………………………………………………137

    5. 석유화학산업 ……………………………………………………149

    6. 정유산업 …………………………………………………………161

    7. 섬유산업 …………………………………………………………168

    8. 가전산업 …………………………………………………………178

    9. 정보통신기기산업 ………………………………………………189

    10. 디스플레이산업 ………………………………………………198

    11. 반도체산업 ……………………………………………………207

    12. 음식료산업 ……………………………………………………216

  • 요 약

    1.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내수 다소 개선·수출 부진

    ◦ 국내 실물경기는 내수가 투자를 중심으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 지속

    - 내수는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비교적 활

    발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 지속 중

    - 수출은 물량 증가가 부진한 가운데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

    이 가세하면서 금년 들어 감소세 지속

    □ 세계경제 : 2015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 예상

    ◦ 세계경제는 선진권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

    보다 소폭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선진권의 경우 미국은 꾸준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유로권과 일

  • 6

    본은 통화정책의 확장적 기조가 이어지면서 완만한 성장을 보

    일 전망

    -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

    □ 유가 및 환율 : 저유가 지속, 환율은 금년과 비슷한 수준

    ◦ 2016년 유가는 세계경제의 완만한 성장세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

    ◦ 원/달러 환율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의 상승 요인과

    국내 대규모 경상흑자 지속에 따른 하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하면서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2016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GDP 3% 성장 전망

    ◦ 국내경제는 수출부진이 완화되고 저유가, 저금리에 힘입어 내수

    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면서 금년보다 소폭 높은 연간 3% 내외

    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 흐름을 예상

    - 수출이 낮은 증가에 그치고 내수도 소비성향 하락 추이 등으로

    완만한 증가에 머물러 성장률 상승 폭은 크지 않을 전망

    ◦ 미국 금리인상과 그 여파, 중국의 성장둔화폭 확대 가능성, 지정

    학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요약 7

    □ 민간소비 : 연간 2% 내외 증가 전망

    ◦ 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 저물가 등이 증가를 견인하나 가계부채

    및 주거비 부담, 고령화 진전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연간

    2% 내외의 완만한 증가를 예상

    □ 투자 : 설비투자 호조세 지속, 건설투자는 둔화

    ◦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 완화, 저금리 등으로 전년에 이어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진정, SOC 예산 축소로 전년에 비해 증가세가 낮아질 전망

    □ 수출입 : 세계경제 부진 완화로 연간 수출 2.1% 증가 전망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 GDP2.3 2.9

    2.6 3.2 2.9

    3.0

    민간소비 1.6 2.1 1.8 2.1 1.9 2.0

    건설투자 1.2 6.5 4.0 3.9 2.0 2.9

    설비투자 5.4 5.3 5.3 4.0 4.4 4.2

    통관 수출(억 달러, %)

    2,685 2,638 5,323 2,690 2,746 5,436

    (-5.2) (-8.9) (-7.0) (0.2) (4.1) (2.1)

    통관 수입(억 달러, %)

    2,224 2,216 4,440 2,250 2,325 4,575

    (-15.5) (-15.5) (-15.5) (1.2) (4.9) (3.0)

    무역수지 461 422 883 440 421 861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 안은 전기비 분기 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 ◦ 수출은 세계경제가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보이고 단가 하락세가

    진정됨에 따라 소폭의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 2016년 수출은 2.1%, 수입은 3% 증가하고, 무역수지는 2015년과

    비슷한 수준의 대규모 흑자를 이어갈 전망

    2. 산업별 전망

    □ 주력산업 수출은 가전, 일반기계 등의 주도로 소폭 증가세 전환

    ◦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중국 저성장, 단가약세 등의 영향에도 불구

    하고, 선진국 경기회복, 신제품 출시 확대,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

    어 소폭 증가세로 전환(-9.4% → 0.4%)

    - 한·중 주력산업 간 경쟁심화, 엔저·저유가 장기화, 해외생산 확

    대 지속, 산업구조조정, 한·중 FTA 발효 등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

    8

    ◦ 소재산업군은 금년에 비해 수출부진 폭이 축소되고, IT제조업과 기

    계산업군은 수출이 소폭 증가세로 전환

    ◦ 산업별로 수출은 가전이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가장 호조

    ◦ 수출규모가 큰 반도체는 감소세 전환, 조선도 드릴십 등 해양플랜

    트의 인도 연기 및 취소로 감소세 지속

    ◦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

    으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

    ◦ 생산은 수출 저성장,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소폭 증가

  • 요약 9

    ◦ 가전의 호조와 소재산업의 부진 완화에 힘입어 IT제조업(0.7%)과

    비IT제조업(0.3%) 수출 모두 증가세로 전환되나 소폭에 그칠 전망

    - 2016년 수출은 상저하고 흐름으로, 하반기에 감소세 탈피 전망

    - 가전은 브라질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증가세(6.3%)로 전환

    되고,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금년보

    다 개선

    ◦ 반도체와 조선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 반도체 수출은 해외생산 물량 확대와 D램 가격하락으로 감소

    세 전환, 조선은 저유가 지속에 따른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감

    소 전망

    ◦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

    로 작용하고 있어 2016년에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동향 및 전망

    5,000

    4,000

    3,000

    2,000

    1,000

    0

    40

    30

    20

    10

    0

    -10

    -20

    (억 달러)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p 2016e

    수출액 증가율

    13.014.5

    -14.2

    27.5

    19.0

    0.4

    -3.1-9.4

    1.02.8

    4,5384,4144,111 4,129

  • - 세계시장 수요둔화도 문제이나, 글로벌 공급능력 확대, 중국 등

    후발국과의 경쟁심화, 해외생산 확대 등도 부진의 원인

    - 더욱이 엔저 및 저유가 장기화, 신흥시장 성장 및 업체 간 경쟁

    격화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도 일정 부분 수출제약 요인으

    로 작용

    ◦ 2016년 생산은 수출과 내수 둔화, 가전, 정보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력업종의 해외생산 확대로 낮은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 반도체(5%)가 내수확대, 고부가 제품 양산으로 증가하고, 가전과

    정보통신기기, 정유는 수출확대에 힘입어 3% 정도 증가하지만,

    여타 업종들은 1~2% 증가에 그치거나 소폭 감소 전망

    - 가전, 스마트폰, 섬유에 이어 최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첨

    단품목의 해외생산 확대가 국내수출을 대체하면서 수출에 부정

    적 영향

    □ 2016년 수출 : 가전 호조, 일반기계, 자동차, 정유는 증가세 전환

    ◦ 기계산업군 수출은 자동차(2.4%)가 선진국 수요회복으로, 일반기

    계(4%)가 친환경 기계류 수요와 수출회복으로 증가세로 전환되

    지만, 조선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

    ◦ 소재산업군은 유가하락으로 크게 감소했던 석유화학과 정유

    의 수출개선에 힘입어 부진폭이 크게 완화된 -0.7% 기록(2015년

    -23.4% 추정)

    - 철강은 중국 저성장, 수입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금년

    수준에서 정체, 섬유(1.0%)는 선진국 수요개선, 기저효과에 힘입

    10

  • 요약 11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주 : 달러표시 가격 기준, ( ) 안은 2016년 총수출 대비 비중 전망.

    2015 2016

    (%)

    -5.5

    2.4

    -4.5 -4.9-2.4

    4.0

    -14.2

    -3.9

    -20.6

    -1.5

    -36.6

    2.5

    -10.2

    1.0

    -13.8

    6.3 6.5

    2.9

    -6.3

    -1.8

    1.3

    -0.8-2.1

    1.1

    자동차

    (13.5)

    조선

    (6.7)

    일반기계

    (8.2)

    철강

    (5.4)

    석유화학

    (6.9)

    정유

    (6.1)

    섬유

    (2.7)

    가전

    (2.5)

    정보통신 기기(7.4)

    디스 플레이(4.4)

    반도체

    (11.6)

    음식료

    (0.8)

    2016년 산업 전망 기상도

    수출 생산 내수 수입

    기계산업군

    자동차 ☁ ☂ 조 선 ☁ ☁

    일반기계

    소재산업군

    철 강 ☁ ☁석유화학 ☁ ☁ ☂ ☁

    정 유 섬 유 ☁ ☼

    IT제조업군

    가 전 ☼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 ☁ ☁

    반도체 ☁ ☼ ☼ 음식료 ☁

    주 : 1) 전망 :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10~-5%,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

    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 12

    어 증가세로 전환 전망

    ◦ IT제조업 수출은 가전(6.3%)이 하계올림픽 특수로 증가하나, 반도

    체(-0.8%)가 D램가격 하락으로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으로

    1% 증가하며 금년수준에서 정체

    - 정보통신기기(2.9%)는 휴대폰부품과 SSD의 호조세 지속으로 증

    가하는 반면, 디스플레이(-1.8%)는 중국 저성장, 해외생산 확대

    로 부진이 지속될 전망

    ◦ 2016년 중국의 성장둔화 시 국내 주력산업은 높은 수출의존도 특

    히 대중 수출 비중이 높아 대중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

    으로 전망

    □ 화장품 등 부상하고 있는 후발 수출유망 업종은 꾸준히 성장

    ◦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7개 후발산업들은 수출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을 부분적으로 보완

    - 7개 후발산업*은 1990년대 말부터 제조업 평균 성장률을 넘어

    서는 꾸준한 수출확대로 성장하며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1)

    ̂ 중전기기, 플라스틱 제품, 축전지(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

    이 장비, 화장품, 의료용 전자기기, 의약품

    - 한편 7대 후발업종 중에서 중전기기 수출이 2014년 비교적 큰 폭

    1) 그동안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던 경보신호기부품이 2014년 이후 수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 후발 유망업종이 8개에서 7개로 조정됨.

  • 요약 13

    의 감소세를 기록했지만, 2015년 1~9월 기준 부진폭이 개선

    ◦ 7대 후발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은 2007년 3.9%에서 2014년 5.5%

    로 높아진 반면, 동 기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은 감소(82.5 →

    79.2%)

    후발 주요 업종의 최근 수출 증감률 변화 추이

    단위 : %

    2012 2013 2014 2015. 1~9

    의약품 14.0 3.8 15.2 31.4

    중전기기 25.2 11.7 -29.2 0.1

    화장품 19.0 24.3 51.6 62.9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27.5 63.5 14.2 14.7

    (12대 주력산업) -4.7 1.0 2.8 -6.7

    (총수출) -1.3 2.1 2.3 -6.6

    주 : 12대 주력산업의 2015년(1~9월) 수치는 2015년 상반기 기준.

    후발 7대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DB(MTI 기준) 참조.

    7.0

    6.0

    5.0

    4.0

    3.0

    2.0

    1.0

    0.0

    (%)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9

    중전기기 플라스틱제품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후발 7대 수출유망업종

    2.7 2.93.0

    3.2 3.3 3.2 3.2 3.33.5

    3.9 4.04.5

    4.8 4.85.2

    5.85.5

    6.1

  • 14

    - 7대 업종은 1998~2014년 동안 연평균 수출증가율이 14.6%로 총

    수출의 9.6%를 상회하였으며, 2015년 9월까지 수출비중은 6.1%

    로 상승

  •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차 례

    제1장 국내 경기상황 판단 …………………………………………21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24

    1. 세계경제 …………………………………………………………24

    2. 주요국 경제 ………………………………………………………28

    (1) 미국 경제 ……………………………………………………………28

    (2) 일본 경제 ……………………………………………………………30

    (3) 유로 경제 ……………………………………………………………32

    (4) 중국 경제 ……………………………………………………………34

    3. 유가 ………………………………………………………………36

    4. 원/달러 환율 ……………………………………………………38

    5. 세계 IT경기 ………………………………………………………40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43

    1. 경제성장 …………………………………………………………43

    2. 부문별 전망 ………………………………………………………45

    (1) 민간소비 ……………………………………………………………45

    (2) 설비투자 ……………………………………………………………48

    (3) 건설투자 …………………………………………………………… 51

    (4) 수출입 ………………………………………………………………53

  • 표 차례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26

    OECD 및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27

    미국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29

    일본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 31

    유로권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33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 ……………………………………………35

    국제 유가 추이 …………………………………………………………36

    2015년 및 2016년 국제유가 전망 ………………………………………37

    2016년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 ………………………38

    원/달러 환율 전망치 ……………………………………………………39

    주요 선진국의 IT생산 증가율 추이 …………………………………… 41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44

    민간소비 관련 지표 추이 ………………………………………………45

    설비투자 추이 ……………………………………………………………49

    부문별 설비투자지수 ……………………………………………………49

    건설투자 추이 ……………………………………………………………52

    최근 수출입 동향 ………………………………………………………54

    산업별 수출 ……………………………………………………………55

    2016년 수출입 전망 ……………………………………………………56

  • 그림 차례

    GDP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22

    산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23

    경기종합지수 추이 ……………………………………………………23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25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26

    미국의 경제성장률 추이 ……………………………………………28

    일본의 경제성장률 추이 ……………………………………………30

    유로권의 경제성장률 추이 …………………………………………32

    중국의 경제성장률 추이 ……………………………………………34

    최근 국제유가 추이 …………………………………………………37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39

    주요국의 IT 제조업 생산 증가율 추이 ……………………………40

    세계 반도체 판매액 증가율 추이 ………………………………… 41

    재화별 소비 추이 ………………………………………………………46

    교역조건과 GDI 증가율추이 …………………………………………47

    소비자 물가 상승률 추이 ……………………………………………47

    취업자 수 추이 ………………………………………………………47

    명목임금 추이 …………………………………………………………47

    가계부채 추이 …………………………………………………………48

    가계소득 및 소비성향 추이 …………………………………………48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50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50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증가율 추이 ………………………………52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53

    지역별 수출 증가율 …………………………………………………56

  • 국내 경기상황 판단

    □ 내수 다소 개선·수출 부진

    ◦ 국내 실물경기는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투자가 비교적 활발한 모

    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 지속

    - 투자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모두 하반기 들어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

    - 민간소비는 3분기 들어 상반기 메르스 영향에 따른 부진에서 벗

    어나 완만한 증가세

    - 수출은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과 세계교역 부진의 영향으

    로 감소세

    * GDP(전기비, %) :

    (2014.4/4) 0.3 → (2015.1/4) 0.8 → (2/4) 0.3 → (3/4) 1.2

    * GDP(전년동기비, 이하 同, %) : (2015.1/4) 2.5 → (2/4) 2.2 → (3/4) 2.6

    * 민간소비(%) : (2014.4/4) 1.4 → (2015.1/4) 1.5 → (2/4) 1.7 → (3/4) 2.0

    * 설비투자(%) : (2014.4/4) 4.2 → (2015.1/4) 5.8 → (2/4) 5.0 → (3/4) 6.8

    제1장

  • 22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건설투자(%) : (2014.4/4) -1.5 → (2015.1/4) 0.6 → (2/4) 1.6 → (3/4) 5.2

    * 통관 수출(%) : (2015.1/4) -3.0 → (2/4) -7.2 → (3/4) -9.5 → (10월) -15.8

    ◦ 산업생산은 광공업이 수출의 영향으로 부진한 반면 서비스업은

    꾸준한 증가세

    * 광공업(%) : (2014.4/4) -1.9 → (2015.1/4) -0.9 → (2/4) -1.5 → (3/4) -0.3

    * 서비스(%) : (2014.4/4) 2.6 → (2015.1/4) 2.8 → (2/4) 2.5 → (3/4) 2.8

    ◦ 경기선행지표는 완만하나마 경기 개선 가능성을 시사

    * 동행순환변동치 전월차 :

    (2015.6월) -0.3 → (7월) 0.2 → (8월) 0.3 → (9월) 0.7

    * 선행순환변동치 전월차 :

    (2015.6월) -0.4 → (7월) -0.1 → (8월) 0.1 → (9월) 0.5

    GDP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주 : 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10

    8

    6

    4

    2

    0

    -2

    -4

    -6

    -8

    4

    3

    2

    1

    0

    -1

    -2

    -3

    -402.1 03.1 04.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내수 기여도 순수출 기여도 실질 GDP증가율(전년동기 대비)(좌) 실질 GDP증가율(전기 대비)(우)

    (%, %포인트) (%)

  • 제1장 국내 경기상황 판단 23

    산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 통계청.

    50

    40

    30

    20

    10

    0

    -10

    -20

    8

    7

    6

    5

    4

    3

    2

    1

    0

    -110.1 11.1 12.1 ..13.1 14.1 15.1

    산업생산지수(좌) 산업생산지수(조업일수 적용)(좌) 서비스업활동지수(우)

    (%) (%)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 통계청.

    106

    104

    102

    100

    98

    96

    94

    92

    9000.01 01.07 03.01 04.07 06.01 07.07 09.01 10.07 12.01 13.07 15.01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2000.8 P

    2002.12 P

    2008.1P

    2001.7 T

    2005.4 T

    2009.2 T

    2011.9 P

  • 대외 여건 전망

    1. 세계경제

    □ 2015년 동향 : 2014년 대비 저조한 성장세

    ◦ 올 들어 세계 실물경기는 선진권의 완만한 성장 흐름과 개도권의

    현저한 경기 둔화로 전년보다 성장세가 상대적으로 저조

    - 선진권에서는 미국이 상대적으로 견고한 내수에 힘입어 전년비

    2%대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일본과 유로권은 정책당

    국의 경기부양 노력에도 성장세가 미미

    - 개도권은 중국이 내·외수 부진 여파로 상반기 성장률이 7% 수준

    에 그치고, 3분기에는 200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7%선을 하회

    - 전 세계 산업생산은 올 상반기에 완연한 둔화세를 보인 이후, 하

    반기 들어 다소 반등하는 모습

    * 세계 산업생산 : (2014) 3.3% (2015.상반기) 2.2% (2015.7~8월) 2.0%

    제2장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25

    ̂ 선진권 : (2014) 2.4% (2015.상반기) 1.2% (2015.7~8월) 1.0%

    ̂ 개도권 : (2014) 4.2% (2015.상반기) 3.2% (2015.7~8월) 3.0%

    □ 2016년 전망 : 불확실성 속 성장률 소폭 개선

    ◦ 2016년 세계경제는 선진권과 개도권의 성장세가 소폭 개선되면

    서 2015년보다 약간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나, 여전히 높은 불확실

    성으로 인해 성장세가 강하지는 않을 전망

    - 미국경제는 고용 및 소득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내수 주도의 견

    조한 성장이 예상되나, 연준의 금리 인상과 대외경기 부진의 영

    향이 주요 변수

    - 일본과 유로권은 실물경기 회복의 가시화 전까지 현재의 경기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자료 : 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7

    6

    5

    4

    3

    2

    1

    0

    -1

    -2

    -3

    (%, 전년동월비)

    2012 2013 2014 2015

    전세계 산업생산 선진국 개도국

  • 26 제1편 거시경제 전망

    부양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며, 중국을 비롯한 개도권에서도 경

    기부양을 위한 전방위 노력에 따른 성장 회복 여부가 주요 관건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4 2015 2016 전망치 조정폭

    상반기 하반기 연간 1/4 2/4 3/4 연간(f) 연간(f) 2015 2016

    세계 3.4 3.1 3.6 ▲0.2 ▲0.2

    선진권 1.9 1.9 1.9 2.0 2.0 - 2.0 2.2 ▲0.1 ▲0.2

    미국 2.2 2.7 2.4 2.9

    (0.6)2.7

    (3.9)2.0

    (1.5)2.6 2.8 0.1 ▲0.2

    일본 1.0 -1.2 -0.1 -0.8 1.0 1.0 0.6 1.0 ▲0.2 ▲0.2

    유로 1.0 0.9 0.9 1.2 1.5 1.6 1.5 1.6 0.0 ▲0.1

    개도권 4.6 4.0 4.5 ▲0.2 ▲0.2

    중국 7.5 7.3 7.4 7.0 7.0 6.9 6.8 6.3 0.0 0.0

    세계교역 3.3 3.2 4.1 ▲0.9 ▲0.3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5.10월) 등.

    주 : 전망치 조정폭은 2015.7월과의 변화폭이며, ▲는 하향 조정을 의미.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6

    4

    2

    0

    -2

    -4

    -6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OECD 전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20

    15

    10

    5

    0

    -5

    -10

    -15

    -20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27

    - 주요 리스크 요인들로는 주요국들 간의 차별적인 정책 기조 영

    향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여부, 그리고 개도권과도 밀

    접한 연관성이 있는 원자재가격의 회복 여부 등에 주목할 필요

    OECD 및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경기선행지수(장기 추세=100)

    전월비 변화율(%)

    전년동월비

    경기 전망**2015 2015 2015.

    8월4월 5월 6월 7월 8월 4월 5월 6월 7월 8월

    OECD 100.2 100.2 100.1 100.0 99.9 -0.05 -0.06 -0.07 -0.10 -0.12 -0.46Signs of easing

    growth

    유로권 100.6 100.6 100.6 100.6 100.7 0.05 0.03 0.01 0.00 0.01 0.41Stable growth momentum

    아시아 개도권*

    99.1 99.0 98.8 98.7 98.5 -0.08 -0.11 -0.14 -0.17 -0.18 -1.18Growth losing momentum

    선진권(G7) 100.1 100.0 99.9 99.8 99.7 -0.05 -0.06 -0.08 -0.11 -0.14 -0.73 Easing growth

    캐나다 99.7 99.7 99.7 99.6 99.6 -0.05 -0.03 -0.02 -0.04 -0.05 -0.70 Easing growth

    프랑스 100.5 100.6 100.6 100.7 100.8 0.07 0.06 0.07 0.08 0.09 1.20 Growth firming

    일본 100.1 100.1 100.0 99.9 99.8 0.00 -0.02 -0.05 -0.11 -0.16 -0.24 Easing growth

    독일 100.0 100.0 100.0 100.0 100.0 0.06 0.04 0.02 0.01 0.00 0.09Stable growth momentum

    이탈리아 100.9 100.9 100.9 100.9 101.0 0.08 0.04 0.02 0.02 0.05 0.50 Growth firming

    영국 100.2 100.1 99.9 99.7 99.5 -0.13 -0.15 -0.18 -0.21 -0.23 -1.60 Growth losing momentum

    미국 99.9 99.8 99.6 99.5 99.2 -0.11 -0.12 -0.13 -0.18 -0.23 -1.36Growth losing momentum

    브라질 99.2 99.0 98.9 98.9 98.8 -0.21 -0.17 -0.12 -0.06 -0.02 -0.93Weak growth momentum

    중국 98.3 98.1 97.9 97.6 97.2 -0.17 -0.21 -0.26 -0.31 -0.33 -2.61Growth losing momentum

    인도 99.5 99.6 99.7 99.8 99.9 0.09 0.10 0.11 0.11 0.12 1.05 Growth firming

    러시아 99.3 99.4 99.4 99.3 99.1 0.08 0.06 -0.01 -0.09 -0.13 -1.85Weak growth momentum

    자료 : OECD.

    주 : 1)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2)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 반대로 100 미

    만(음영 부문)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 28 제1편 거시경제 전망

    2. 주요국 경제

    (1) 미국 경제

    ◦ 연초에 한파 등 계절적 영향으로 전기비 성장률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연간 2%대 성장률을 꾸준히 유지하면

    서 대체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

    - 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비 연율 기준으로 2014년과 2015년 중 매

    1분기마다 크게 떨어지고, 이후 다시 안정세를 찾아가는 등 변동

    성이 크게 나타나지만,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2%대 범위를 유지

    - 소비와 투자 등 내수의 성장 기여도가 3%포인트 수준까지 높아

    지면서 성장을 주도, 견인하는 모습이 주목할 만하며, 외수는 수

    출 둔화와 수입 확대 영향으로 마이너스 기여도가 지속

    ◦ 대내적으로는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와 그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

    미국의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 미 상무부.

    5

    4

    3

    2

    1

    0

    -1

    -2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미국 실질GDP 성장률(전년동기비) 전기비 연율 기준 내수 기여도 외수 기여도

    (%) (%포인트, 전년동기비)4

    3

    2

    1

    0

    -1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1.1 0.9

    1.5

    2.2

    3.8

    2.6 2.9

    2.1 2.12.7

    -0.9

    1.9

    1.1

    3.0

    2.51.7

    4.6 4.3

    2.5

    0.6

    2.9

    3.9

    0.2 0.1 0.1 0.3

    -0.1 -0.1

    -0.6-0.7-0.7-0.5

    -0.0

    0.8 0.8

    1.4

    2.21.8

    2.62.9 3.0

    3.63.3

    2.9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29

    동성 및 실물경기에 대한 영향 등이, 대외적으로는 중국을 비롯해

    일본과 유로권 등 나머지 권역들의 경기 회복 여부가 주요 변수

    - 미 연준은 금리 인상이 실물경기나 금융시장에 미칠 수 있는 부

    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인 금리 인상에 나선

    다는 입장이나, 금리 인상 전후의 금융시장에서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할 것이며, 지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실물경기에 누적되

    는 영향도 주시

    - 또 미국경기가 아직까지는 내수의 비교적 견조한 흐름에 힘입

    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해외 여타 권역들의 경기

    회복 없이 미국만의 성장세가 추가적으로 확대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며, 해외 경기 부진의 장기화 시에는 저성장의 지속 가

    능성도 우려

    미국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단위 : %

    2013 2014 2015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실질GDP(전기비 연율)

    1.51.7

    (-0.9)2.6

    (4.6)2.9

    (4.3)2.5

    (2.1)2.4

    2.9(0.6)

    2.7(3.9)

    2.2(2.1)

    개인소비 1.7 2.0 2.6 3.0 3.2 2.7 3.3 3.3 3.2

    민간투자 4.5 5.0 6.8 5.3 4.7 5.4 7.6 5.7 3.8

    비주택투자 3.0 5.3 6.2 7.6 5.5 6.2 3.9 3.8 2.2

    설비투자 3.2 3.2 5.0 10.2 5.1 5.8 4.8 3.3 1.7

    IT 장비 3.7 0.3 5.2 1.8 8.0 3.8 5.7 0.5 8.6

    주택투자 9.5 0.6 0.9 0.5 5.1 1.8 8.4 8.2 9.2

    순수출* -417.5 -434.0 -443.3 -429.1 -463.6 -442.5 -541.2 -534.6 -544.1

    정부지출 -2.9 -1.8 -1.0 0.0 0.4 -0.6 0.4 0.7 0.7

    자료 : 미 상무부.

    주 : 전년동기비 기준. 단, *는 십억 달러(실질) 기준.

  • 30 제1편 거시경제 전망

    (2) 일본 경제

    ◦ 올 상반기에 경제성장률이 급등락하면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이후, 하반기 들어서는 내외수의 동반 부진 여파로 마이너스 성

    장 국면이 지속되는 양상

    - 분기 경제성장률은 올 1분기에 전기비 기준 1%대로 급등한 이후

    2~3분기에 마이너스 국면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년동기비 기준

    으로는 성장률의 하락세가 좀 더 뚜렷

    - 부문별 성장기여도는 내수가 올 1분기에 전년동기비 3%포인트

    대까지 꾸준한 회복세를 보인 이후 낙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

    며, 외수는 1분기를 제외하고 제로 수준이 지속

    ◦ 지난해 상반기 소비세 인상의 여파로 내수가 크게 위축되면서 침

    체를 보인 이후에 올 들어서는 다소나마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

    일본의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 일본 내각부.

    3

    2

    1

    0

    -1

    -2

    -3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일본 실질GDP 성장률(전년동기비) 전기비 기준 내수 기여도 외수 기여도

    (%) (%포인트, 전년동기비)4

    3

    2

    1

    0

    -1

    -2

    -3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0.4 0.6 0.6

    -0.2-0.2

    -2.0

    -1.4

    -0.9-0.2

    -0.8

    1.21.3 1.4

    2.2 2.3 2.4

    -0.4

    -0.3

    0.31.01.1 1.0

    -0.5-0.1 -0.0 -0.4

    -1.1-0.2

    0.2 0.3

    1.10.9

    0.1

    1.01.5

    2.22.7

    3.5

    -0.2

    -1.6-1.9 -1.9

    0.8 0.8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31

    이나, 성장 탄력이 상당폭 둔화

    - 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비 기준으로 올 1분기에 1%대를 회복한

    이후에 소폭의 마이너스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전년동기비 성

    장률이 올 1분기까지 3분기 연속 마이너스에 머물다 2분기와 3

    분기에 1%를 기록

    - 연초까지만 해도 내수가 마이너스 성장 기여를 보이면서 부진

    을 면치 못하고, 외수 중심의 성장 기조가 이어지다가, 2분기부

    터는 내외수가 모두 소폭이나마 플러스의 성장 기여도를 나타

    내고 있는 양상

    ◦ 아베노믹스 추진 이후 글로벌 경기 부진의 여파로 성장동력이 다

    시 약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성장을 견인할 만한 모멘텀

    이 현실적으로 부재하다는 점에서 당분간 미미한 성장세가 이어

    질 전망

    일본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단위 : %

    2013 2014 2015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실질GDP(전기비)

    1.62.4

    (1.2)-0.4

    (-2.0)-1.4

    (-0.3)-0.9(0.3)

    -0.1-0.8(1.1)

    1.0(-0.2)

    1.0(-0.2)

    내수 1.9 3.5 -0.2 -1.6 -1.9 -0.1 -1.9 0.8 0.8

    민간소비 2.1 3.4 -2.9 -3.0 -2.4 -1.3 -4.0 0.4 0.7

    설비투자 0.4 10.8 2.4 1.4 0.2 4.0 -1.4 1.4 -0.3

    정부지출 1.9 0.2 0.0 0.2 0.5 0.2 0.9 1.6 1.5

    순수출* 8,094 1,303 2,749 2,595 2,948 9,595 2,927 2,982 2,972

    수출 1.2 14.8 6.0 5.3 3.8 8.4 -0.2 0.8 1.4

    자료 : 일본 내각부.

    주 : 전년동기비 기준. 단, *는 십억 엔 기준(계절 조정).

  • 32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아베 정부는 아베노믹스 추진의 연장 선상에서 새로운 성장 전

    략을 도모하는 일환으로 이른바 ‘신아베노믹스’를 발표하고, 일

    본은행(BOJ)은 디플레 조짐이 나타나는 경우에 즉각 대응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표명

    - 그러나 ‘신아베노믹스‘가 중장기 차원의 정책 목표 성격이 강하

    며, 일본은행(BOJ)도 이미 상당 정도의 양적완화를 단행하고 있

    어 추가적인 정책 효과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당분간

    은 미약한 성장 흐름이 예상

    (3) 유로 경제

    ◦ 지난해 역내 성장률이 0%를 소폭 웃도는 플러스 수준을 유지한

    데 이어, 올 들어서는 내수 회복이 좀 더 강화되면서 연간 성장률

    이 1%대 중반 수준까지 추가적으로 상승

    유로권의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 유로 통계청.

    2.0

    1.5

    1.0

    0.5

    0.0

    -0.5

    -1.0

    -1.5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유로권 실질GDP 성장률(전년동기비) 전기비 기준 내수 기여도 외수 기여도

    (%) (%포인트, 전년동기비)3

    2

    1

    0

    -1

    -2

    -3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0.2

    0.40.2 0.30.2 0.1

    0.30.4 0.40.5

    1.1

    -1.1

    -0.4

    -0.1

    0.6

    0.2

    0.7 0.80.9

    1.51.2

    1.6

    0.90.5

    -0.1

    0.2

    -0.0 -0.1

    0.2

    -0.1-0.0

    0.3

    -1.9

    -0.9

    0.00.4

    1.10.8

    0.51.0

    1.4 1.3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33

    - 분기 성장률은 전기비 기준으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0%대 중반의

    플러스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년동기비 성장률이 1%를 넘어

    2015년 3분기 현재 1.6%(2011년 2분기 이후 최고치)까지 상승

    - 부문별 성장 기여도는 내수가 지난해 일시 둔화세를 보인 것

    을 제외하고는 1%포인트선을 유지하면서 역내 성장을 견인하

    는 모습이며, 외수는 수출입의 동반 확대 영향으로 0% 내외 수

    준에서 등락

    ◦ 역내 성장률의 흐름만으로는 지난 2012~2013년의 재정위기 영향

    에서 완연히 벗어나는 모습이나, 역내 회원국들 간 경기 회복 속

    도의 차이나 정치적·외교적 불안 요인 등을 감안 시 제한적인 성

    장 흐름이 예상

    - 유로권은 재정위기 여파로 2012년과 2013년에 2년 연속으로 마

    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이후, 2014년 중 3년 만에 플러스 성장률을

    유로권의 주요 경제성장 내역

    단위 : %

    2013 2014 2015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실질GDP(전기비)

    -0.21.1

    (0.2)0.7

    (0.1)0.8

    (0.3)0.9

    (0.4)0.9

    1.2(0.5)

    1.5(0.4)

    1.6(0.3)

    내수 -0.6 1.1 0.9 0.5 1.0 0.9 1.4 1.4 -

    민간소비 -0.6 0.7 0.7 1.0 1.4 0.9 1.7 1.9 -

    고정투자 -2.6 2.6 1.2 0.7 0.8 1.3 1.8 1.9 -

    정부지출 0.2 0.6 0.7 0.8 1.0 0.8 1.2 1.3 -

    순수출* 397.2 99.8 100.4 100.5 101.4 402.0 97.4 105.3 -

    수출 2.2 3.7 3.3 4.3 4.3 3.9 4.8 5.2 -

    자료 : 유로 통계청.

    주 : 전년동기비 기준. 단, *는 십억 유로(실질) 기준(계절 조정).

  • 34 제1편 거시경제 전망

    회복하고, 올해에는 1%대의 성장률이 예상되는 등 역내 실물경

    기 회복이 지속되는 양상

    - 다만 역내 회원국들 간의 구조적인 차이 등에 따라 경기 회복의

    진행 속도가 국가 간에 서로 다른 데다, 러시아와의 외교 분쟁이

    나 파리 테러 발생 등 지정학적 불안 요인들이 잠재하고 있어 성

    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4) 중국 경제

    ◦ 지난해 생산과 소비 둔화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7%대 중반 수준

    까지 떨어진 이후, 올 들어서는 내·외수가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

    이면서 성장률이 7%선까지 떨어지고, 3분기 현재 6.9%까지 하락

    - 산업생산은 지난해 분기 증가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진 이후에

    중국의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무역수지(좌) 수출(우)

    (천억 달러) (%, 전년동기비)2.5

    2.0

    1.5

    1.0

    0.5

    0.0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18.3

    3.7

    3.97.4

    -3.5

    4.9

    12.98.5

    4.5

    -2.3-6.0

    9.5

    9.0

    8.5

    8.0

    7.5

    7.0

    6.5

    6.0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중국 실질GDP 성장률(좌) 산업생산(우) 소매판매(우)

    (%, 전년동기비) (%)16

    14

    12

    10

    8

    6

    4

    2

    0

    12.413.0 13.3 13.5

    12.0 12.3 11.9 11.710.6

    10.2 10.79.5 9.1

    10.1 10.08.7 8.9

    8.0 7.66.4 6.3 5.9

    7.7 7.6 7.7 7.77.4 7.5

    7.3 7.37.0 7.0 6.9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0.440.66 0.62

    0.91

    0.17

    0.86

    1.28 1.26 1.311.49

    1.69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35

    올 들어서는 5%선까지 추가로 떨어지는 등 완연한 둔화세를 보

    이고 있으며, 소매판매도 10%대 증가율 수준까지 하락세가 지

    속되는 양상

    - 수출은 올 1분기까지도 플러스 증가율 수준을 유지하다, 2분기

    부터 감소세를 보이면서 3분기 현재 -6%선까지 떨어지고, 수입

    이 두 자릿수의 대폭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무역수지 흑자는

    확대 추세

    ◦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치로 설정한 7% 달성 가능성은 아

    직까지 불분명하지만, 대내외 경기 상황이나 구조적 문제 등을

    감안 시 성장률의 추가적인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지배적

    - 중국의 정책 관계자들이 올해 성장률 목표치 달성을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으나, 각종 실물지표들의 추이를 고려해 볼 때 올해

    중국경제 성장률이 7%를 밑돌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2005년 →

    2006년 : IMF 6.8% → 6.3%, OECD 6.8% → 6.5%)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

    단위 : %

    2013 2014 2015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실질GDP 7.7 7.4 7.5 7.3 7.3 7.4 7.0 7.0 6.9

    산업생산 9.7 8.7 8.9 8.0 7.6 8.3 6.2 6.3 5.9

    고정투자* 19.6 17.8 17.3 16.1 15.7 15.7 13.5 11.4 10.3

    소매판매 13.1 11.9 12.3 11.9 11.7 12.0 10.5 10.2 10.7

    소비자물가 2.6 2.3 2.2 2.0 1.5 2.0 1.2 1.4 1.6

    수출 8.7 -4.7 5.0 13.1 8.7 5.5 10.0 -2.3 -6.0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주 : 전년동기비 기준. 단, *는 누계액 기준.

  • 36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또 구조적 측면에서 기존의 지방정부 부채나 부동산 버블, 설비

    과잉 등 문제점들과 더불어 기업부채 증가 등 새로운 위험요인

    들이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들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성장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3. 유가

    □ 저유가 기조 지속

    ◦ 국제 유가는 전반적으로 저유가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2015년

    상반기에 다소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6월 이후 달러화 강세

    와 이란 핵협상 타결 등 공급과잉 우려가 맞물리면서 재차 하락세

    * 10월 30일 기준 배럴당 43.94달러(두바이유)로 연중 최고점 대비

    32.5%, 연초 대비 17.5% 하락

    - 최근 국제유가 약세의 주요 원인은 중국 및 세계경제의 성장 둔

    화로 인한 수요 감소, 북미지역 셰일오일 및 OPEC 회원국들의 원

    유 생산량 증가 등

    국제 유가 추이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4 2015

    1/4 2/4 3/4 4/4 연간 1/4 2/4 3/4 4/4

    WTI 98.7 103.1 97.5 73.4 93.2 48.6 58.0 46.6 46.3

    브렌트 108.1 109.7 102.7 76.7 99.3 55.1 63.5 51.3 49.3

    두바이 104.4 106.0 101.6 74.8 96.7 52.2 60.5 49.9 45.8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2015년 4분기는 2015년 11월 현재 기준.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37

    ◦ 2016년 국제유가는 최근의 수급구조가 기본적으로 이어질 것으

    로 보인다는 점에서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

    - 다만 국제유가 하락을 이끌었던 세계경기 부진이 선진국을 중

    심으로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비OPEC 산유국의 생산량

    감소 등이 예상되어 전년보다 소폭 높아지는 모습을 보일 전망

    - 주요 전망 기관들의 경우, 2016년 상반기에는 낮은 수준의 가격

    최근 국제유가 추이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15014013012011010090807060504030202007.01 2007.08 2008.04 20008.11 2009.07 2010.03 2010.10 2011.06 2012.01 2012.09 2013.04 2013.12 2014.07 2015.03

    WTI유 두바이유 브렌트유

    (달러/배럴)

    2015년 및 2016년 국제유가 전망

    단위 : 달러/배럴

    2015 2016

    1/4 2/4 3/4 4/4 연간 1/4 2/4 3/4 4/4 연간

    WTI 48.5* 57.9* 46.6* 45.3 49.5 49.1 54.4 56.3 54.3 53.6

    브렌트 54.0* 61.7* 50.5* 50.0 54.0 54.1 59.4 61.3 59.3 58.6

    자료 : EIA 단기에너지전망 보고서 2015년 10월.

    주 : *는 실측치.

  • 38 제1편 거시경제 전망

    을 유지하다 하반기 이후에는 완만한 오름세를 보일 것을 예상

    하는 견해가 지배적

    - 2016년 유가는 저유가 기조 속에 금년보다 소폭 상승한 연간 55.1

    달러(2015년 대비 5.7% 상승) 내외 예상

    4. 원/달러 환율

    □ 2015년과 비슷한 수준 예상

    ◦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경기회복 및 금리 인상 기대 등에 따라 금

    년 들어 상승세를 보이다가 10월에는 1,130원대까지 하락한 이후,

    다시 1,150원대로 상승

    - 지난 9월 7일 연중 최고점인 1,203.7원까지 상승한 이후, 미국 연

    준의 금리인상 지연과 중국 금융시장의 안정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1,150원대까지 상승

    ◦ 2016년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달러 강

    세와 국내 대규모 경상흑자 지속에 따른 하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2016년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두바이유56.3

    (-46.5)47.9

    (-45.7)52.1

    (-46.1)51.7(-8.2)

    58.4(22.0)

    55.1(5.7)

    주 : ( ) 안은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는 %.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39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금년 말 혹은 늦어도 2016년 중에는 이루

    어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나

    국내 경상수지의 대규모 흑자 지속 등이 억제요인으로 작용하

    여 환율은 금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2016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150원(전년 대비 1.7% 상승) 내외

    예상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자료 : 한국은행.

    1,250

    1,200

    1,150

    1,100

    1,050

    1,000

    950

    900

    850

    130.00

    125.00

    120.00

    115.00

    110.00

    105.00

    100.00

    95.00

    90.00

    85.00

    80.00 2013.01.02 2013.05.08 2013.09.11 2014.01.22 2014.05.30 2014.10.13 2015.02.13 2015.06.25 2015.10.30

    (원)엔/달러 환율(우)

    120.6엔(2015.11.2)

    원/달러 환율(좌)1,137.0원(2015.11.2)

    원/엔(100엔) 환율(좌) 944.5원(2015.11.2)

    (엔)

    원/달러 환율 전망치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098.9(4.7)

    1,162.8(10.0)

    1,130.9(7.4)

    1,160(5.6)

    1,140(-2.0)

    1,150(1.7)

    주 : 1) ( ) 안은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는 %.

    2) 2015년 하반기는 2015년 11월 현재 기준.

  • 40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원/엔 환율은 일본의 경기 회복이 미진한 가운데 일본중앙은행

    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속으로 2016년에도 약세가 전망되나 세

    계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약세 강

    도는 2015년 대비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

    5. 세계 IT경기

    ◦ 선진권의 IT경기는 미국과 유로권이 지난해 이후 상대적으로 미

    약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은 지난 연말의 침체가 상당

    폭 완화되면서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양상

    - 미국의 ICT 생산은 지난해 연간 증가율이 2%대에 그친 이후 올

    들어서도 0%를 약간 밑도는 수준까지 하락하고, 유로권은 0% 내

    외 수준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는 모습

    주요국의 IT 제조업 생산 증가율 추이

    40

    30

    20

    10

    0

    -10

    -20

    -30

    -40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미국 ICT 생산 일본 ICT 생산 유로 ICT 생산

    (%, 전년동기비)

  • 제2장 대외 여건 전망 41

    - 일본의 ICT 생산은 지난해 하반기에 전년동기비 20%대의 감소세

    를 보인 이후 올 들어서는 10%대로 감소세가 축소되고, 3분기 현

    재 3.8% 감소로 부진이 완화

    ◦ 품목별 동향을 살펴보면 반도체 경기가 올 들어 추가적인 둔화

    세가 이어지면서 완연한 하강 국면을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PC 판매도 세계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미약한 흐름

    주요 선진국의 IT생산 증가율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3 2014 2015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미국 3.8 2.8 3.0 1.7 1.6 2.3 1.5 -0.1 -0.2

    일본 -9.6 8.2 -1.5 -20.2 -25.2 -9.7 -18.0 -10.0 -3.8

    유로 -2.0 -0.6 -0.6 1.2 0.8 0.2 1.4 2.3 1.9

    자료 : 미 연준(Fed), 일본 경제산업성(METI), 유로 통계청(Eurostat).

    세계 반도체 판매액 증가율 추이

    자료 :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706050403020100

    -10-20-30-40-5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세계 반도체 판매(3개월 이평 기준)

    (%, 전년동기비)

  • 42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세계 반도체 매출액은 지난해 하반기에 10%를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진 후, 올 들어 추가적인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2015년 3분기

    현재 -2.8%로서 2012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

    -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는 올 3분기에 13.5%까지 증가율이 떨어지

    면서 2013년 이후 최소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PC 출하는 올 들어

    감소세가 확대되면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 세계 PC 출하(전년동기비, %) : 2014.4분기 1.0 [2014년 전체 -0.2] →

    2015.1분기 -5.2 → 2분기 -9.5 → 3분기 -7.7

    ◦ 세계 실물경기의 예상보다 부진한 흐름과 더불어 글로벌 IT경기

    도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2016년에도 현 상황을 크게 벗어나지 않

    는 수준의 상대적으로 미미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

    -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은 선진권의 완만한 경기 회복으로 올해보

    다는 다소 나은 모습이 예상되나, 신흥국이 특히 중국 등을 중심

    으로 부진세가 이어지면서 2016년에는 현 수준에서 약간 높아지

    는 수준에 그칠 전망

    *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 : 2015년 0.2% → 2016년 1.4%

    * 권역별 반도체 시장 전망(2015년 → 2016년, %) : 미주 -0.6 → 2.3,

    유럽 -8.2 → -0.1, 일본 -10.3 → 1.0, 아·태 3.9% → 1.4

    - 품목별로는 PC 판매가 신흥국들의 경기 부진 여파로 제한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스마트폰 시장은 업체 간 경쟁 격화 등의 영향

    으로 10%대의 저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2016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2016년 GDP 성장률 3% 내외 예상

    ◦ 2015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2.6%의 다소 낮은 성장

    에 그칠 전망

    ◦ 2016년 국내경제는 수출이 소폭이나마 증가세로 돌아서고 내수

    도 완만한 회복 기조를 유지하면서 금년보다 다소 높은 3% 내외

    의 성장을 보일 전망

    - 상하반기 비슷한 성장 흐름이 이어질 전망

    ◦ 수출은 세계 교역이 회복세를 보이고 단가 하락세가 진정됨에 따

    라 완만하나마 증가세를 되찾을 전망

    - 2016년 수출은 약 2.1%, 수입은 약 3% 증가하고, 무역흑자는 전년

    과 비슷한 약 860억 달러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제3장

  • 44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내수는 소비와 투자 모두 완만한 증가를 보일 전망

    - 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 물가 안정 등에 힘입어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나 주거비 및 가계부채 부담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

    여 금년과 비슷한 완만한 증가를 보일 전망

    -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 완화와 저금리에 힘입어 금년에 이어 비

    교적 활발한 증가가 예상되고, 건설투자는 주택경기 진정, 정부

    SOC 예산 축소 등에 따라 금년보다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

    ◦ 미국 금리인상 관련 불안, 중국의 성장둔화 폭 확대 가능성, 지정

    학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 GDP2.3 2.9

    2.6 3.2 2.9

    3.0

    민간소비 1.6 2.1 1.8 2.1 1.9 2.0

    건설투자 1.2 6.5 4.0 3.9 2.0 2.9

    설비투자 5.4 5.3 5.3 4.0 4.4 4.2

    통관 수출(억달러, %)

    2,685 2,638 5,323 2,690 2,746 5,436

    (-5.2) (-8.9) (-7.0) (0.2) (4.1) (2.1)

    통관 수입(억달러, %)

    2,224 2,216 4,440 2,250 2,325 4,575

    (-15.5) (-15.5) (-15.5) (1.2) (4.9) (3.0)

    무역수지 461 422 883 440 421 861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 안은 전기비 분기 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45

    2. 부문별 전망

    (1)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유가하락에 따른 소득 증가 호조에 힘입어 완만한 증

    가세를 지속중

    - 2015년 상반기 메르스로 인해 소비활동이 위축되면서 2분기에는

    전기비 -0.2% 감소하였으나, 3분기 들어 증가세를 회복

    - 재화별로는 준내구재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구재가 상

    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비내구재와 서비스는 완만한

    증가세

    ◦ 유가의 하향 안정세와 낮은 물가상승률 등이 가계의 실질 구매력

    을 개선시키면서 민간소비 증가세를 견인

    - 저유가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세 등에 힘입어 소비자물가는 0%대

    민간소비 관련 지표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 2015

    1/4 2/4 3/4 4/4 연간 1/4 2/4 3/4

    민간소비2.6

    (0.4)1.7

    (-0.4)1.5

    (0.8)1.4

    (0.5)1.8

    1.5(0.6)

    1.7(-0.2)

    2.0(1.1)

    소매판매액지수2.4

    (0.2)0.8

    (-0.2)1.5

    (1.3)1.9

    (0.4)1.7

    1.6(0.5)

    2.9(0.6)

    3.1(1.1)

    실질 GNI4.8

    (1.0)3.6

    (1.0)3.1

    (0.2)3.7

    (1.6)3.8

    7.0(4.2)

    5.8(-0.1)

    -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 )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분기비.

  • 46 제1편 거시경제 전망

    상승률을 지속 중이고, 교역조건 개선으로 GDI는 높은 증가세

    * 국제유가(두바이유) :

    (2015.1/4) 52.2달러 → (2/4) 60.5달러 → (3/4) 49.9달러

    * 수입물가지수(한국은행, 달러기준, 전년동기비) :

    (2015.1/4) -20.4% → (2/4) -20.5% → (3/4) -24.1%

    ◦ 고용과 임금도 완만하나마 증가 추이를 지속 중

    ◦ 다만 전세가 상승 등에 따른 주거비 부담,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에

    다른 원리금 상환 부담, 고령화 진전 등이 소비 제약요인으로 작용

    - 가계부채의 큰 폭 증가와 더불어 원리금 상환 부담도 높아지면

    서 가계소비를 제약

    - 주택거래(매매·전세 기준)가 올해 들어 규제 완화 및 저금리 기

    조 지속에 대출금리 하락 등의 요인으로 급격히 늘면서 가계 부

    채의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재화별 소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35

    30

    25

    20

    15

    10

    5

    0

    -5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내구재 준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 전년동기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47

    - 주거비 부담이나 가계부채 원리금 부담 등이 소비를 제약하면

    서 소비증가율이 가계소득증가율을 하회하여 최근 소비성향은

    하락 추이

    교역조건과 GDI 증가율 추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순상품교역조건(전년동기비) GDI(SA, 실질, 전년동기비)

    (%) (%)

    소비자물가지수(전년동기비) 기대인플레이션율(3개월평균)

    15

    10

    5

    0

    -5

    -10

    -15

    5.0

    4.5

    4.0

    3.5

    3.0

    2.5

    2.0

    1.5

    1.0

    0.5

    0.0

    2010

    3/4

    4/4

    2011

    1/4 2/4

    3/4

    4/4

    2012

    1/4 2/4

    3/4

    4/4

    2013

    1/4 2/4

    3/4

    4/4

    2014

    1/4 2/4

    3/4

    4/4

    2015

    1/4 2/4

    3/4

    2010

    1/4 2/4

    3/4

    4/4

    2011

    1/4 2/4

    3/4

    4/4

    2012

    1/4 2/4

    3/4

    4/4

    2013

    1/4 2/4

    3/4

    4/4

    2014

    1/4 2/4

    3/4

    4/4

    2015

    1/4 2/4

    3/4

    취업자 수 추이 명목임금 추이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주 : 실질 기준(계절조정). 주 : 5인 이상 사업체 평균 1인당 분기

    평균 기준.

    (천명) (%) (%, 전년동기비) 3.5

    3.0

    2.5

    2.0

    1.5

    1.0

    0.5

    0.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0

    -2.0

    -4.0

    26,500

    26,000

    25,500

    25,000

    24,500

    24,000

    23,500

    23,000

    22,500

    22,000

    취업자수(좌측) 취업자수 증가율(전년동기비, 우축) 상용임금총액 임시일용임금총액

    2010

    1/4 2/4

    3/4

    4/4

    2011

    1/4 2/4

    3/4

    4/4

    2012

    1/4 2/4

    3/4

    4/4

    2013

    1/4 2/4

    3/4

    4/4

    2014

    1/4 2/4

    3/4

    4/4

    2015

    1/4 2/4

    3/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2012 2013 2014 2015

  • 48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2016년 민간소비는 수출 부진 완화에 힘입은 소득 증가와 저물가

    에 따른 실질구매력 개선 추이가 지속되는 가운데, 가계부채 누

    증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완만한 증가추이를 이어갈 것

    으로 전망

    - 금년보다 소폭 높은 2% 내외의 연간 증가를 예상

    (2) 설비투자

    ◦ 설비투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비교적 안

    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

    * 설비투자 전년동기비 증감률(%) :

    (2014.3/4) 4.2 → (4/4) 4.2 → (2015.1/4) 5.8 → (2/4) 5.0 → (3/4) 6.8

    ◦ 형태별로는 일반기계류와 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

    가계부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가계소득 및 소비성향 추이

    자료 : 통계청.

    가계신용(좌) 가계 대출금리(우)

    (조원) (%) (%) (%)

    평균소비성향(우) 가계 경상소득 증가율(좌, 전년동기비)

    1,200

    1,000

    800

    600

    400

    200

    0

    6.0

    5.0

    4.0

    3.0

    2.0

    1.0

    0.0

    79

    78

    77

    76

    75

    74

    73

    72

    71

    70

    8.0

    7.0

    6.0

    5.0

    4.0

    3.0

    2.0

    1.0

    0.0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420152/4 20

    10 1

    /4 2/4

    3/4

    4/420

    11 1

    /4 2/4

    3/4

    4/420

    12 1

    /4 2/4

    3/4

    4/420

    13 1

    /4 2/4

    3/4

    4/420

    14 1

    /4 2/4

    3/4

    4/420

    15 1

    /4 2/4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49

    - 특히, 금년 들어 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가운

    데 하반기 들어 증가세가 가속화

    ◦ 2016년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의 완화나 저금리 등에 힘입어 호조

    가 이어지겠으나, 주요 업종의 구조조정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

    용하여 올해보다는 약간 낮은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

    설비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 2015

    1/4 2/4 3/4 4/4 연간 1/4 2/4 3/4

    설비투자7.2

    (-1.4)7.7

    (1.3)4.2

    (0.2)4.2

    (4.0)5.8

    5.8(0.2)

    5.0(0.5)

    6.8(2.0)

    형태별

    기계류9.3

    (-3.4)5.4

    (0.4)1.3

    (2.0)4.6

    (5.6)5.0

    7.2(-0.7)

    2.6(-3.9)

    -

    운송장비2.6

    (3.7)12.8(3.6)

    12.2(-3.8)

    3.4(0.4)

    7.7 2.7

    (2.4)9.3

    (10.6)-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부문별 설비투자지수

    단위 : %, 전년동기비

    2015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총지수 13.7 3.1 8.8 2.6 0.7 12.3 7.2 16.6 7.1

    기계류 17.3 4.3 11.6 5.9 -5.2 10.7 8.2 11.3 -4.1

    일반기계류 24.2 10.2 21.8 8.2 -8.2 15.0 13.4 16.4 -6.5

    전기전자기기 7.9 -5.3 -7.2 2.8 -1.1 1.5 2.7 6.8 1.1

    정밀기기 19.2 5.3 9.2 2.5 -2.5 11.0 3.9 4.2 -6.1

    기타 기기 2.5 -8.0 6.6 1.7 2.7 12.1 -5.8 0.2 -2.2

    운송장비 4.9 0.2 1.5 -5.4 15.5 16.2 4.9 30.9 36.4

    자동차 13.4 1.5 17.2 10.0 12.3 19.8 7.4 26.5 17.9

    기타 운송장비 -19.4 -3.8 -37.5 -44.8 21.8 8.6 -0.3 47.5 84.5

    자료 : 통계청.

  • 50 제1편 거시경제 전망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a) 설비투자(국민계정) (b) 설비투자지수(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지수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총설비투자 기계류 운송장비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총설비투자 기계류 운송장비

    50

    40

    30

    20

    10

    0

    -10

    -20

    -30

    50

    40

    30

    20

    10

    0

    -10

    -20

    -30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기계수주와 설비투자조정압력 (b)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BSI)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주 : 1) 기계수주(선박제외 불변금액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 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

    3) 설비투자 전망은 다음 달 전망.

    설비투자조정압력(좌) 기계수주액(우)

    (%포인트) (%, 전년동기비) (지수)30

    20

    10

    0

    -10

    -20

    -30

    110

    100

    90

    80

    70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60

    40

    20

    0

    -20

    -40

    -60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51

    - 2013년부터 비교적 활기를 보였던 기계수주액은 올해 하반기 들

    어 하락세로 전환되는 모습

    - 금년 하반기에 집중되는 내수부양책의 효과와 세계경제의 회복

    에 따른 수출 둔화세의 진정, 저금리 기조 등은 투자증가세 유지

    에 기여할 전망

    - 업종별로는 IT와 자동차 등이 호조를 보이는 반면, 구조조정의

    압력을 받고 있는 철강, 석유화학 등은 부진할 전망

    (3) 건설투자

    ◦ 건설투자는 부동산 경기회복, 경기부양 등에 힘입어 최근 들어

    증가세가 확대되는 모습

    - 올해 들어 주택거래를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가 활기를 보이면서

    주거용 건물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

    - 반면에 토목건설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없어 여전히 부진을 지속

    ◦ 건설수주와 부동산 심리지수 등 건설경기 선행지표들은 여전히

    상승국면에 있어 호조 지속을 시사

    - 전년 4분기 부진의 기저효과로 2015년 하반기 건설투자는 비교

    적 높은 증가를 보일 전망

    ◦ 2016년 건설투자는 금년보다 다소 낮은 연간 3% 내외의 증가를

    예상

  • 52 제1편 거시경제 전망

    건설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 2015

    1/4 2/4 3/4 4/4 연간 1/4 2/4 3/4

    건설투자4.1

    (5.3)0.2

    (0.5)2.3

    (0.9)-1.5

    (-7.8)1.0

    0.6(7.4)

    1.6(1.6)

    5.2(4.5)

    형태별

    건물건설8.0

    (3.2)3.5

    (3.1)5.7

    (2.4)1.5

    (-7.3)4.4

    2.5(4.5)

    4.0 (4.6)

    -

    주거용17.2(7.5)

    9.1(1.5)

    9.1(-1.4)

    2.3(-5.6)

    8.9 6.0

    (12.2)9.0

    (4.1) -

    비주거용0.5

    (-0.1)-0.6(4.4)

    3.5(5.5

    0.9(-8.5)

    1.2 -0.9

    (-1.4)0.0

    (5.0)-

    토목건설-2.1(8.9)

    -4.9(-3.8)

    -4.0(-1.8)

    -5.7(-8.8)

    -4.4 -2.8

    (12.7)-2.6

    (-3.6) -

    주체별

    민간5.3

    (9.9)4.4

    (0.1)3.4

    (-3.0)1.2

    (-5.4)3.5

    2.0(11.5)

    1.1 (-1.1)

    -

    정부-2.3

    (-11.0)-15.4(2.3)

    -1.2(17.6)

    -9.8(-16.4)

    -7.8 -7.9

    (-8.1)3.4

    (14.4) -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증가율 추이

    (a) 건설투자 (b) 건설기성액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총액 건축 토목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총액 건축 토목

    30

    20

    10

    0

    -10

    -20

    30

    20

    10

    0

    -10

    -20

    -30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53

    - 주거용 건물 투자는 부동산 거래의 호조 지속으로 꾸준한 증가

    세가 이어질 전망

    - 공공부문, 토목 건설 투자는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점차 부진

    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

    - 다만 부동산 경기호조세 완화, 금년 대비 정부 SOC 예산 축소 등

    으로 2015년보다는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

    (4) 수출입

    ◦ 2015년 수출은 유가하락에 따른 관련 제품 수출의 급감, 세계 교

    역 둔화,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 중국경제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전년동기비) (b)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총액 건축 토목

    (%) (%)

    부동산시장 주택매매

    200

    150

    100

    50

    0

    -50

    -100

    150

    140

    130

    120

    110

    100

    9007

    201101

    201207 01

    201307 01

    201407 01

    201507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54 제1편 거시경제 전망

    의 구조변화 등 일시적, 구조적 요인이 겹치면서 큰 폭으로 감소

    - 수입도 자본재와 소비재가 소폭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유가 하

    락 등으로 에너지 자원의 수입이 대폭 감소한 데다 수출부진에

    따른 중간재 수입 둔화 등으로 두 자릿수 감소

    - 수출입이 모두 부진한 가운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

    소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크게 확대

    ◦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와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들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유가 관

    련 제품인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의 수출이 특히 큰 폭으로 감소

    - 무선통신기기는 해외생산 거점으로의 부품수출 확대와 신제품

    의 판매 호조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반도체는 PC 수요 부

    진에 따른 메모리 수출 감소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

    - 자동차는 신흥시장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디스플레

    최근 수출입 동향

    단위 : 억 달러, %

    20142015

    1/4 2/4 3/4 10월 1~10월

    수출5,727(2.3)

    1,334(-3.0)

    1,351(-7.2)

    1,282(-9.5)

    434(-15.9)

    4,401(-7.7)

    수입5,255(1.9)

    1,118(-15.5)

    1,105(-15.6)

    1,082(-18.5)

    368(-16.6)

    3,673(-16.6)

    무역수지 472 216 246 200 66 729

    자료 : 한국무역협회.

    주 :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55

    이는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과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철강

    과 섬유는 세계경기 부진과 공급과잉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

    으로 감소

    ◦ 지역별로는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1~9월 중 전년동기 대비 6%대

    의 고른 감소폭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대

    한 수출이 감소

    - 대선진국 수출은 대미수출은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일본과 EU에 대한 수

    출은 두 자릿수의 큰 폭 감소

    산업별 수출

    단위 : 억 달러, %

    2014 2015

    연간 증가율 1~10월 증가율 비중

    무선통신기기 295.7 7.2 266.1 8.4 6.0

    반도체 626.5 9.6 529.7 3.7 12.0

    일반기계 484.0 4.3 395.3 -1.7 9.0

    자동차부품 266.4 2.1 213.3 -4.6 4.8

    선박류 398.9 7.3 318.2 -5.3 7.2

    디스플레이 323.1 -9.8 255.0 -5.4 5.8

    자동차 489.2 0.6 375.4 -5.8 8.5

    섬유류 159.4 -0.1 119.1 -10.9 2.7

    철강제품 355.4 -9.4 255.3 -13.1 5.8

    가전 148.4 -0.3 106.9 -15.6 2.4

    석유화학 482.1 -0.3 319.5 -21.7 7.3

    석유제품 507.8 -3.8 274.9 -37.3 6.2

    자료 : 한국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주 : 2015년 10월 실적은 추정치.

  • 56 제1편 거시경제 전망

    - 우리나라 최대 시장인 대중수출도 중국의 경기 둔화와 자급능력

    확대 등으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유가하락 및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중동과 중남미에 대한 수출도 크게 감소

    ◦ 2016년 수출은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엔화·유로화 약세 등이 제

    약요인으로 작용하나, 국제 원자재 가격의 안정, 세계경기의 완

    만한 회복, 기저효과 등으로 2.1%의 소폭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

    2016년 수출입 전망

    단위 : 억 달러, %

    20142015 2016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수출5,727 2,685 2,638 5,323 2,690 2,746 5,436

    (2.3) (-5.2) (-8.9) (-7.0) (0.2) (4.1) (2.1)

    수입5,255 2,224 2,216 4,440 2,250 2,325 4,575

    (1.9) (-15.5) (-15.5) (-15.5) (1.2) (4.9) (3.0)

    수지 472 461 422 883 440 421 861

    주 :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지역별 수출 증가율

    자료 : 한국무역협회.

    15

    10

    5

    0

    -5

    -10

    -15

    -20

    -25미국 중국 중남미 중동 EU ASEAN 일본

    2014년 2015년(1~9월)

    (%, 전년동기비)

  • 제3장 2016년 국내경제 전망 57

    ◦ 수입은 유가 안정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수입 회복과 기저효과 등

    으로 3.0%의 소폭 증가가 예상되며,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2015년

    과 비슷한 높은 수준이 유지될 전망

  • 제2편

    산업별 전망

  • 차 례

    제1장 개관 ………………………………………………………………67

    1. 2015년 동향 ………………………………………………………67

    2. 2016년 전망 ………………………………………………………70

    3. 정책적 시사점 ……………………………………………………84

    4. 주요 산업별 2016년 전망 요약 …………………………………88

    제2장 2016년 산업별 전망 ………………………………………… 107

    1. 자동차산업 ………………………………………………………107

    2. 조선산업 …………………………………………………………118

    3. 일반기계산업 ……………………………………………………130

    4. 철강산업 …………………………………………………………137

    5. 석유화학산업 ……………………………………………………149

    6. 정유산업 …………………………………………………………161

    7. 섬유산업 …………………………………………………………168

    8. 가전산업 …………………………………………………………178

    9. 정보통신기기산업 ………………………………………………189

    10. 디스플레이산업 …………………………………………………198

    11. 반도체산업 ……………………………………………………207

    12. 음식료산업 ……………………………………………………216

  • 표 차례

    2016년 산업전망 기상도 …………………………………………………73

    후발 주요 업종의 최근 수출증감률 변화 추이 ………………………74

    후발 수출호조 업종의 수출비중 변화 추이 ……………………………75

    2016년 12대 주력산업 수출전망의 주요 요인 …………………………77

    12대 주력산업 전망의 시사점 …………………………………………87

    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생산 전망 ……………………………………98

    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내수 전망 ……………………………………99

    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100

    2016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입 전망 …………………………………101

    중국 저성장과 주력산업의 2016년 대중 수출 영향 전망 …………103

    중국추격 가속화와 2016년 주력산업 수출 변화 전망 ……………105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110

    자동차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12

    자동차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13

    자동차산업의 수출입 전망(금액기준) ………………………………116

    자동차산업의 수급전망(물량기준) ……………………………………116

    조선산업의 해외생산과 비중 변화 ……………………………………122

    조선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123

    조선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24

    조선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25

    조선산업의 수급전망 …………………………………………………128

    일반기계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32

    일반기계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33

    일반기계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34

    일반기계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136

    철강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41

    철강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44

  • 철강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44

    철강산업의 수급전망(물량기준) ……………………………………147

    철강산업의 2016년 설비투자 전망 및 원인…………………………147

    철강산업의 수출입 전망(금액기준) …………………………………148

    석유화학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54

    석유화학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55

    석유화학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56

    석유화학산업의 수급 전망 …………………………………………160

    정유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63

    정유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64

    정유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64

    정유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166

    섬유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72

    섬유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73

    섬유산업의 수급전망(물량기준) ……………………………………175

    섬유산업의 수출입 전망(금액기준) …………………………………176

    가전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82

    가전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84

    가전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84

    가전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187

    정보통신기기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192

    정보통신기기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193

    정보통신기기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194

    정보통신기기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196

    디스플레이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201

    디스플레이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202

    디스플레이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202

    디스플레이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205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210

  • 반도체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211

    반도체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211

    반도체산업의 수급 전망 ……………………………………………213

    중국의 주요 식품안전 사고 일지 ……………………………………219

    음식료산업의 글로벌 여건 변화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221

    음식료산업의 2016년 여건변화 전망 …………………………………222

    음식료산업의 수출 호조 및 부진 품목 전망 …………………………222

    음식료산업의 수급전망(금액기준) ……………………………………227

  • 그림 차례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동향 및 전망 ………………………………… 71

    후발 7대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75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78

    12대 주력산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추이 ……………………79

    2016년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80

    2016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82

    2016년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84

    소비지출전망지수 추이 ………………………………………………223

    음식료산업 연구개발투자금액 추이 ………………………………226

  • 개 관

    1. 2015년 동향

    □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 외에 전 업종이 감소

    ◦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가 증가했지만, 이

    외에 모든 업종 특히 소재산업군이 크게 부진하면서 전년동기비

    9.4% 감소 추정

    - 하반기에 유가가 재차 약세를 보이면서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

    D램 단가하락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기계산업군) 조선은 하반기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감소세로

    전환되고, 자동차와 일반기계도 신흥시장 수요부진 등으로 감소

    하면서 전체적으로 4%대 감소율을 기록

    ◦ (소재산업군) 정유(-36.6%)와 석유화학(-20.6%)은 수출물량 확대에

    도 불구하고 하반기 유가하�